[에너지신문] 25일 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종전 협정 타결 가능성 고조, 2026년 원유 공급 과잉 심화 전망으로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89달러 하락한 57.95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89달러 하락한 62.48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73달러 상승한 63.36달러에 마감됐다. 미국의 외교적 압력으로 우크라이나 종전 협정 타결이 임박했다. 우크라이나 국가 안보 책임자(Rustem Umerov
[에너지신문] 24일 국제유가는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불확실성 고조, 미국-베네수엘라 긴장 고조 등으로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78달러 상승한 58.84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81달러 상승한 63.37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05달러 하락한 62.63달러에 마감됐다. 미국 연준(Fed)의 12월 금리인하 기대감 확대로 투자 심리가 회복됐다. 지난주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에너지신문] 21일 국제유가는 미국의 압박 등에 따른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정 가능성, 달러화 가치 상승 등으로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94달러 하락한 58.06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82달러 하락한 62.56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1.73달러 하락한 62.68달러에 마감됐다. 미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정(안)에 따른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 가능성이
[에너지신문] 20일 국제유가는 미국의 러–우 평화협정 추진, 러시아 제재 관련 불확실, 미 원유 재고 감소 및 제품 재고 증가 등이 혼재되며 소폭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30달러 하락한 59.14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13달러 하락한 63.38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32달러 하락한 64.41달러에 마감됐다. 미국 정부의 러-우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 협정 추진은 유가 하락
[에너지신문] 19일 국제유가는 미국의 러-우 전쟁 종식 제안 기초 합의안 제시 보도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미 원유 재고의 감소 등은 유가 하락폭을 제한시켰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1.30달러 하락한 59.44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1.38달러 하락한 63.51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25달러 상승한 64.73달러에 마감됐다. 미국의 러-우 전쟁 종식 제안 기초 합의안 제시 보도로 인한 지정
[에너지신문] 17일 국제유가는 러시아 원유 수출 재개, 공급 과잉 가능성 제기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지정학적 긴장은 유가 하락폭을 제한시켰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18달러 하락한 59.91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19달러 하락한 64.20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13달러 하락한 64.63달러에 마감됐다. 익명의 소식통은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중단됐던 러시아 흑해 Novorossi
[에너지신문] 14일 국제유가는 우크라이나 공격에 따른 러시아 원유 수출 차질, 이란의 유조선 나포에 따른 중동 긴장 고조 등으로 상승했다.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1.40달러 상승한 60.09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1.38달러 상승한 64.39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또한 국내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1.18달러 상승한 64.76달러에 마감됐다.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러시아 흑해 Novorossiisk 항구의 석유 수출이 중단됐다.이
[에너지신문] 13일 국제유가는 러시아 제재 우려, 미 정부 셧다운 종료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감 등으로 상승했으나 미 원유 재고 급증, 공급과잉 심화 전망 등은 유가 상승폭을 제한시켰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20달러 상승한 58.69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30달러 상승한 63.01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2.25달러 하락한 63.58달러에 마감됐다. 러시아 루코일 제재 및 미 정부 셧다
[에너지신문] 12일 국제유가는 OPEC의 올해 3분기 석유 공급 과잉 평가, EIA의 내년 미국의 석유 생산량 전망을 종전 대비 상향 조정 등으로 하락했다.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2.55달러 하락한 58.49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2.45달러 하락한 62.71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89달러 상승한 65.83달러에 마감됐다.11월 OPEC이 올해 3분기의 수급 밸런스 평가를 종전의 초과 수요에서
[에너지신문] 11일 국제유가는 이라크의 석유 수출 차질 우려, 미 연방정부 업무 재개 예상 등으로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91달러 상승한 61.04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1.10달러 상승한 65.16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42달러 하락한 64.94달러에 마감됐다. 미국의 대러 제재로 이라크에서 조업 중이던 러시아 Lukoil이 불가항력(Force majeure)을 선언하며 이라
[에너지신문] 10일 국제유가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 기대와 대러제재 여파에 따른 러시아 석유 공급 감소 가능성 관찰 등으로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38달러 상승한 60.13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43달러 상승한 64.06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39달러 상승한 65.36달러에 마감됐다. 로이터는 석유 관련 중개회사인 PVM의 Tamas Varga 애널리스트를 인용, 셧다
[에너지신문] 7일 국제유가는 중국의 원유 수입 증가와 미·헝가리 회담 기대감, 루크오일 자산 매각 무산 소식 등으로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32달러 상승한 59.75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25달러 상승한 63.63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0.33달러 상승한 64.97달러에 마감됐다. 중국의 원유 수입 증가세는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10월 원유 수입량은 4836만톤
[에너지신문] 6일 국제유가는 글로벌 석유 공급 과잉 우려, 미 원유 재고 증가 영향 지속 등으로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17달러 하락한 59.43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14달러 하락한 63.38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97달러 하락한 64.64달러에 마감됐다. OPEC+를 포함한 주요 산유국의 원유 생산량 확대로 글로벌 석유 공급 과잉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에너지신문] 4일 국제유가는 미 달러화 강세와 수요 부진 신호에 따른 공급 과잉 우려 부각 등으로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49달러 하락한 60.56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45달러 하락한 64.44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1.32달러 하락한 65.37달러에 마감됐다. 로이터, 블름버그 등 주요 외신은 달러화 강세가 4일 유가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달러화 강세는
[에너지신문] 3일 국제유가는 OPEC+의 증산 일시 중단 발표, 미국의 나이지리아 공습 가능성 등으로 상승한 가운데 주요국 경제지표 약화, 미 달러화 강세 등은 유가 상승폭을 제한시켰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07달러 상승한 61.05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12달러 상승한 64.89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99달러 하락한 66.69달러에 마감됐다. OPEC+가 내년 1월부터 3월까지
[에너지신문] 31일 국제유가는 미국의 베네수엘라 공격 시도 보도 등으로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등으로 상승폭 일부를 반납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41달러 상승한 60.98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07달러 상승한 65.07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1.25달러 상승한 67.68달러에 마감됐다. 로이터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마약 밀매 조직 소탕을 위해 미국이 베네수엘라를 공습할 것이라는
[에너지신문] 30일 국제유가는 미-중 정상회담에 따른 무역 긴장 완화로 상승했으나 글로벌 석유공급 과잉 우려는 유가 상승폭을 제한시켰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09달러 상승한 60.57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08달러 상승한 65.00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2.28달러 상승한 66.43달러에 마감됐다. 이달 30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은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회
[에너지신문] 29일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재고 급감과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감으로 상승했다.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33달러 상승한 60.48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52달러 상승한 64.92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반면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0.80달러 하락한 64.15달러에 마감됐다.미국 원유 및 제품 재고의 예상 외 급감이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미 에너지정보청인 EIA는 이달 24일 기준 주간 미 원유 재고
[에너지신문] 28일 국제유가는 미국의 대러 추가제재 영향 완화 및 OPEC+의 추가 증산 가능성 등으로 3일 연속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1.16달러 하락한 60.15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1.22달러 하락한 64.40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2.72달러 하락한 64.95달러에 마감됐다. 미국의 대러 추가제재 영향은 Rosneft 독일 자회사에 대한 제재면제, Lukoil의 자산매각 계
[에너지신문] 27일 국제유가는 OPEC+ 추가 증산 가능성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미-중 무역협상 진전, 미 달러 가치 하락은 유가 하락폭을 제한시켰다. 한국석유공사(사장 김동섭)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인 WTI가 전일대비 배럴당 0.19달러 하락한 61.31달러에, 북해산 Brent유는 0.32달러 하락한 65.62달러에 각각 마감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기준 유가로 적용되는 중동산 Dubai유는 전일대비 배럴당 1.15달러 하락한 67.67달러에 마감됐다. OPEC+ 12월 추가 증산 가능성에 따른 공급 과잉 우려가 지속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