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면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본격 출범하는 등 정부부처의 에너지 정책업무가 재조정된데 이어 에너지 공공기관장 인선이 본격화되고 있다.
20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공모에 이어 이달 13일 한국가스공사 사장 공모, 20일 한국가스공사 상임감사위원 공모가 이어지면서 그동안 멈췄던 에너지 공공기관장 인선의 신호탄이 올랐다. 현재 에너지 공공기관 중 수장 교체를 앞두고 있는 곳은 10여곳에 달한다.
산업통상부 산하기관 10곳과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기관 9곳의 기관장 임기가 이미 만료됐거나 올해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중 에너지 공공기관의 인선도 순차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가스기술공사 등은 기관장 공석으로 대행체제가 이어지고 있으며, 한국가스공사, 한국에너지재단, 전력거래소, 한전KPS,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은 기관장 임기가 종료되거나 종료를 앞두고 있다. 한국석유공사도 사장의 사표로 조만간 공모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같이 에너지 공공기관 수장 교체를 앞두고 뒤숭숭한 가운데 후보군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특히 벌써부터 정치권과 정부 출신 관료계에서 ‘보은 인사’ 또는 ‘제식구 챙기기’ 얘기가 공공연히 나온다.
우리는 새로운 에너지 공공기관장은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에 맞춰 올바르게 정책을 이끌 적임자가 돼야 한다는데 공감한다.
에너지 정책 전환기의 중대한 시기임을 감안할 때 직무수행 능력이 어느때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그동안의 잘못된 관행이었던 ‘답정너’ 인사는 매우 경계한다.
이번 정부에서 만큼은 법에서 정한 정당한 인선절차와 철저한 후보자 검증과정을 거쳐 ‘답정너’의 오명에서 벗어나, 책임과 소신을 갖추고 올바르게 에너지산업을 이끌 적임자를 선임하길 염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