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수소경제위원회, 3대 활성화 실천 방안 제시
“수소산업 전반 생태계 구축 위해 정책 역량 집중”
[에너지신문] 정부가 수소특화단지로 동해‧삼척과 포항을 지정해 수소산업 성장 거점 도시로 육성하고, 대형 액화수소운반선 기술을 조기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한다.
또한 수소시범도시를 통해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소생태계 구현을 위한 ‘수소도시 2.0추진전략’을 실행한다.
정부가 11일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수소경제 활성화 실행방안 3개 안건을 상정, 논의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생산·유통·활용 등 수소산업 전반의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번 위원회에는 정부부처 및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진행됐으며, △수소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방안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 전략 △수소도시 2.0 추진전략 등을 논의했다.
우선, 수소클러스터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강원 동해·삼척(액화수소저장·운송), 경북 포항(발전용 연료전지)을 국내 최초의 수소특화단지로 지정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로 특화된 수소기업의 집적을 유도하고 국내 수소산업의 성장을 주도할 핵심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특화단지에 대해 수도권 기업의 특화단지 이전시 보조금 우대(2% 가산), 산업용지 수의계약 허용(원칙: 경쟁입찰),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개발된 제품의 실증 및 시범보급 사업, 인력 양성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추가 발굴해 특화단지 지정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글로벌 수소운송 수요 확대를 대비하고, K-조선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기 기술 확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부가가치가 높고 파급효과가 큰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액화수소저장 시스템, 수소를 활용한 추진시스템, 관련 핵심 기자재 등 소재·부품·장비의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2027년까지 실증 선박을 건조하고 2030년까지 육해상 운항을 통해 기술과 안전성을 검증한 후 2040년까지 스케일업을 통해 대형 운반선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선제적으로 관련 법령 및 제도를 구축하고, 글로벌 표준 선점까지 전 주기에 걸쳐 민관 협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그간 수소시범도시('20~'24)를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 전반에 다양한 수소 생태계를 구현해 내기 위한 ‘새로운 수소도시 추진전략’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도시 내 친환경 수소 생산시설을 확대하고 수소연료전지를 산업(산업단지 등)·문화(문화센터 등)·복지(실버타운 등) 등 다양한 건물에 설치하는 한편, 수소트램, 수소트럭 등 수소교통 인프라도 확충, 기존 수소도시를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모두 발언을 통해 “수소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주요 탄소감축 수단으로 인정된 무탄소 에너지원이며, 2050년 세계 시장 규모가 수조 달러로 전망되는 미래 유망산업”이라며 “정부는 위원회에서 의결된 정책들을 속도감있게 추진, 국내 수소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