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선 이어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기술 조기 확보

[에너지신문] 수소클러스터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강원도 동해·삼척이 액화수소 저장·운송을, 경북 포항은 발전용 연료전지로 국내 최초 수소특화단지로 선정됐다.

강원도 동해·삼척은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으로 올해부터 2028년까지 3177억원을 투입한다.

동해시에는 63개사 기업 입주공간이 마련하고 시험·평가·실증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을 조성하며 삼척에서는 삼척 LNG인수기지 인근 부지를 활용해 수소액화플랜트를 구축한다.

또 경북 포항시에는 수소 연료전지발전 클러스터 구축사업을 위해 2028년까지 1918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30개사 규모의 기업 입주공간과 시험·평가·실증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을 조성하게 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일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주재하면서 이같은 내용의 수소특화단지 지정 방안을 마련했다.

▲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초구 세빛섬에서 열린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한덕수 국무총리가 서초구 세빛섬에서 열린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정부는 지역별로 특화된 수소기업의 집적을 유도하고 국내 수소산업의 성장을 주도할 핵심 거점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화단지에 대해서는 수도권 기업의 특화단지 이전시 보조금 우대(2% 가산), 산업용지 수의계약 허용(원칙: 경쟁입찰),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R&D, 개발된 제품의 실증 및 시범보급 사업, 인력 양성 등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추가 발굴해 특화단지 지정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 전략도 추진한다.

글로벌 수소 운송수요 확대에 대비하고 국내에서 기술우위를 가지고 있는 LNG선에 이어 K-조선산업의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부가가치가 높고 파급효과가 큰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 대비 1회 운송 가능량이 10배 이상 커 대규모 운송에 효율적이며 운반선은 기체수소를 영하 253℃로 액화시켜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여 10배 이상 운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미래 선박으로 아직 상용화된 대형 선박이 없는 매우 도전적인 분야로 꼽힌다.

이를 위해 액화수소 저장 시스템, 수소를 활용한 추진시스템, 관련 핵심 기자재 등 소재·부품·장비의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2027년까지 실증 선박을 건조하고 2030년까지 육해상 운항을 통해 기술과 안전성을 검증한 후 2040년까지 스케일업을 통해 대형 운반선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선제적으로 관련 법령 및 제도를 구축하고 글로벌 표준 선점까지 전 주기에 걸쳐 민관 협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수소도시 2.0 추진 전략도 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진행되는 수소시범도시를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 전반에 다양한 수소 생태계를 구현해 내기 위한 새로운 수소도시 추진전략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도시 내에 친환경 수소 생산시설을 확대하고 수소연료전지를 산업(산업단지 등)·문화(문화센터 등)·복지(실버타운 등) 등 다양한 건물에 설치하는 한편 수소트램, 수소트럭 등 수소교통 인프라도 확충해 기존 수소도시를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