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팀코리아, 경제성·적기준공 능력 EDF 넘어서
국내 원전생태계 급성장 전망...후속시장 ‘절대적 유리’
[에너지신문]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신규 원전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지난 2009년 UAE 바라카 원전 이후 15년만에 이룬 쾌거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체코 정부는 이날 한수원을 필두로 한 팀코리아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최종 선정했다. 팀코리아에는 한수원과 한전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한전KPS,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등이 속해 있다.
한수원은 프랑스전력공사(EDF)와 치열한 경쟁 끝에 축배를 들게 됐다. 수출 노형은 1000MW 규모인 APR1000으로, 팀코리아는 가격경쟁력과 시공능력, 기술력 등에서 EDF를 앞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에는 유럽전력사업자인증(EUR)도 취득하며 수출 요건을 완벽히 갖췄다.
체코 신규원전 건설사업은 두코바니와 테믈린에 각각 2기씩 최대 4기의 원전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현재 건설이 확정된 두코바니 5,6호기의 사업 규모는 총 24조원에 이른다.
당초 두코바니 원전 1기를 검토했던 본 사업은 이후 최대 4기로 건설 규모가 확대되면서 글로벌 원전기업들의 각축장이 됐다. 미국 웨스팅하우스, 프랑스 EDF, 대한민국 한수원의 3파전으로 시작됐으나 웨스팅하우스가 체코 정부의 요구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중도 탈락하며 EDF와 한수원의 2파전으로 압축됐다.
EDF는 체코, 프랑스가 같은 유럽연합(EU) 국가라는 지정학적인 점과 함께 인접국으로 육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부분에서 강점을 가졌다. 반면 한수원은 원전 건설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경제성과 적기 시공, 그리고 안전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수원 APR1000의 건설 단가는 1기당 약 9조원인데 반해, EDF 노형인 EPR1200의 경우 약 16조원으로 거의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UAE 바라카 원전 건설에서 이미 적기 준공이 가능함을 입증한 바 있다. 체코 정부가 이번 우선협상대상 선정에 있어 형식이나 관계가 아닌 실리를 중시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번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 산업부와 한수원은 체코전력공사(CEZ)와 세부조건 협상을 거쳐 내년 3월 발주사인 EDUⅡ(CEZ 자회사)와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최종 계약까지 마치게 되면 일감 공급 물량이 크게 늘면서 국내 원전 생태계가 급성장하게 될 전망이다. 특히 폴란드, 네덜란드 등 향후 유럽 신규원전 시장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최종 계약은 아닌 만큼 세부 협상에서 변수가 발생할 여지가 있으나, 이변이 없는 이상 바라카 원전에 이은 사상 최대 규모의 원전 수주로 기록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