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연료전지 확대보급 간담회’ 개최…업계 관계자 40여명 참석
연료전지 보급확대 현황‧산업단지 연료전지 제도개선안 등 집중 논의
[에너지신문] 충청북도의 전력자립률은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2021년 7.8%인 전력자립률이 2022년 9.4%, 2023년 10.8%, 2024년 15.8%에 불과하다. 때문에 에너지 공급 불균형 해소와 산업단지 전력 안정을 위한 근본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충청북도는 2050 전력자립률 100% 달성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기 위해 24일 충북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충북 연료전지 확대보급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2024년 6월 14일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과 2026년부터 본격 도입될 전기요금 지역별 차등제에 대비, 충북의 낮은 전력자립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도·시군·한전충북본부·연료전지협회·유관기관·연료전지 제조기업·도시가스공급업체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충북 연료전지 보급 현황 △연료전지 확대보급 계획(안) △산업단지 연료전지 설치를 위한 제도개선(업종코드 추가 등) △충북 연료전지 협의체 구성(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연료전지 확대 보급을 위한 산업단지 內 입주업종코드(발전업, D3511) 추가 등 제도개선을 2026년 상반기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충북도는 연료전지 확산을 적극적인 행정 지원 등을 위해 2025년 12월 ‘충북 연료전지 협의체’를 공식 출범해 민원 대응, 부지 발굴, 입찰시장 대응, 인허가 신속처리 등 상시 지원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충북은 현재 발전중인 연료전지 79.2MW 외에도, 2050년까지 총 2702MW(발전량 1만 3245MWh) 규모의 연료전지 신규 확충 계획(안)을 마련해 산업단지 기반의 분산형 전력 공급능력을 크게 확대할 계획이다.
전광호 도 에너지과장은 “전기요금 지역별 차등제가 현실화되는 만큼, 충북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에너지 자립을 추진해야 한다”며 “연료전지는 충북이 가장 빠르게 전력자립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핵심 발전원이며, 2050년 전력자립률 100% 달성을 목표로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