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이재명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 일정이 마무리됐다. 우리나라와 UAE는 과거 바라카 원전 수주를 통해 한층 돈독한 관계로 발전했고, 이번 방문 역시 원전에 대한 얘기가 빠지지 않았다.
이번 국빈 방문을 통해, 한-UAE 양국은 원자력 분야 기술협력 및 글로벌 원전시장 공동 진출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는 차세대 원전 SMR(소형모듈원자로) 개발과 원전 AI 기술 등 미래 유망 분야 협력을 통해 글로벌 원전 시장 공동진출 기반을 마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내 원자력계로부터 ‘탈원전 시즌2’라는 우려 섞인 비아냥(?)을 듣고 있는 이재명 정부지만, 최근 국내외에서의 행보를 보면 원전을 어떻게든 활용하려는 의지가 보인다.
AI 데이터센터, 반도체 클러스터, 전기차 보급 확대 등 전력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2018년대비 53~61%로 최종 확정되면서 무탄소 전원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결국 원전을 쓰지 않으면 전력수요 충당도, 온실가스 감축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정부와 여당도 알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원전을 그대로 갖고 가는 것도 고민이다. 실리적인 부분을 빼고 본다면, 현 정부와 여당인 민주당에 있어 원전은 함께 할 수 없는 아이템이다.
보수 정권에서 신규원전을 늘려가고 수출을 추진할 때, 원전의 위험성과 사용후핵연료 처리를 이유로 앞장서서 반대했던 것이 현재의 정부 여당이기 때문이다.
특히 과거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정부의 뿌리는 시민사회였다. 그런 시민사회가 원전 퇴출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도 시민·환경단체들은 원전 퇴출을 연일 촉구하고 있다. 그들의 예상과 달리, 원전을 모질게 대하지 않는 이재명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당시 민주당 의원들은 대부분 원전을 반대했으나 현재 원전을 반대하는 의원은 거의 없다.
이념적으로는 원전을 멀리 해야 하지만, 실리적으로는 가까이할 수밖에 없는 딜레마를 안고 있는 현 정부가 향후 원전 정책을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갈지 지켜보는 재미가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