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수소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일관성과 신뢰에 금이 가면서 수소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위축되는 형국이다.
수소산업이 활성화를 통해 아직 경제성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근저에는 정책 일관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을 갖도록 한 정부의 역할과 책임 탓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청정수소발전 입찰 시장 취소를 비롯해 일반수소 입찰시장에 대한 2026년 고시 지연 등이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시대에 대비해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수소사업에 뛰어든 적지 않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소충전소만 하더라도 정부 보조 또는 지원금 없이는 직원들 월급은 고사하고 운영비 확보도 여의치 않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비록 투자 현재 둔화되고 있지만 실질 수요와 함께 경제성 있는 사업이 늘어날 예정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최소한의 운영경비와 유지비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생일날 잘먹기 위해 매일 매일을 굶주려야 하는 것은 아닌지 정부는 면밀히 살펴봐야 할 일이다.
전력 및 모빌리티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마땅한 수소 공급방안이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수송 및 발전 분야에서 일부 활용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산업 부문으로까지 확대되기에는 아직 많은 시간과 투자가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산업 부분에 수소가 적용될 때 탄소중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또 이 때문에 정부에서도 단기는 물론 중장기 로드맵을 통한 다양한 실증사업과 정책적 지원을 지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을 위해 활성화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수소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일관성과 관련 기업으로부터의 신뢰 회복이 먼저다.
신뢰가 뒷받침돼야 민간 투자를 이끌어낼 뿐 아니라 더 활성화시켜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소가 미래에 지속 활용될 수 있도록 위해서는 전국 단위의 배관망이 필수이며 초기 투자비가 높을 수 있지만 전력과 수소를 별도 계획하기보다 보다 동일 시스템에서 계획해 시간이 지날수록 비용 우위의 결과를 낳을 수 있도록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