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9월 수출입동향 발표…반도체‧자동차‧선박 ‘호실적’
석유제품 ‘소폭증가’‧석유화학 ‘감소’…수출 희비 엇갈려
“사상 최대실적 경신…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이룬 값진 성과”
[에너지신문] 미국 관세 조치 등 불안정한 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반도체는 2개월 연속 최대 수출액을 경신했고, 자동차‧바이오헬스‧선박 등도 9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수출은 2022년 3월 이후 3년 6개월만에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면,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은 희비가 엇갈렸다. 석유제품 수출은 제품가격 상승 영향으로 오랜만에 소폭 증가한 반면, 석유화학은 수출 물량 증가에도 수출단가 하락으로 부진이 더욱 깊어졌다.
산업통상부가 1일 발표한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 효자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가 역대 최대실적을 새롭게 경신하며, 659억 5000만달러를 기록, 전년동월(585억달러)대비 12.7% 급증했고, 4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행진을 이어갔다.
특히 9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10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으며, 반도체, 선박, 자동차 등은 최대실적을 새롭게 갈아치우며 ‘역대급’ 수출 실적을 이끌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 수출은 AI 서버를 중심으로 HBM, DDR5 등 고부가메모리가 강한 수요를 보이는 가운데, 메모리 고정가격도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전(全) 기간 기준 사상 최대치인 166억 1000만달러를 기록, 전년동월대비 22.0% 증가했다. 이는 지난 8월에 이어 9월에도 역대 최대실적을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반도체 시장은 견조한 메모리 수요의 지속과 고정가격 상승세의 영향 덕분에 반도체 수출 역사상 최초로 160억달러 이상을 기록했고, 당분간 이 기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수출은 미 관세에도 순수전기차(EV)·하이브리드차, 내연기관차 수출 모두 증가한데다 중고차도 호실적을 지속하면서 64억달러를 기록, 전년동월대비 16.8% 늘어나며 4개월 연속 플러스를 시현했다.
선박 수출은 과거 대비 높은 선가가 반영된 고부가가치 선박을 중심으로 인도 물량이 증가하며 21.9% 증가한 28억 9000만달러로 7개월 연속 증가했고, 바이오헬스 수출은 바이오시밀러 및 위탁생산(CMO) 수요 증가세와 수출국가 다변화 노력 등에 힘입어 9월 중 최대실적인 16억 8000만달러(+35.8%)를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석유제품은 수출물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휘발유, 경유 등 주요 제품가격이 소폭 상승하며, 41억 5000만달러를 기록, 전년동월대비 3.7% 소폭 증가했다. 반면, 석유화학은 글로벌 공급과잉과 저유가로 인한 제품 수출단가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37억 1000만달러로, 2.8% 소폭 감소하며, 희비가 엇갈렸다.
한편, 정부는 9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2.7% 증가한 659.5억달러, 수입은 8.2% 늘어난 564억달러, 무역수지는 95억 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해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9월에 사상 최대실적을 새롭게 경신했다”면서 “이는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대미수출이 위축되는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시장 포트폴리오를 신속히 다변화하여 이룬 값진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아직은 미 관세 협상 등 우리 수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으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한 대응을 해나가야 할 때”라고 당부하면서 “정부는 우리 기업들이 수출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를 위해 9월 발표한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한편, 업계와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추가적인 지원책도 지속 발굴·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