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IAA 모빌리티서 완성차업계 총출동…유럽 시장 공략
미래차 콘셉트카‧핵심모델‧중심 라인업 방향성 등 제시
[에너지신문] 글로벌 완성차업체의 미래차들이 독일 뮌헨에 집결했다. 9일(현지시간)부터 시작한 ‘IAA 모빌리티 2025’에는 미래 모빌리티의 방향성과 핵심기술들을 경쟁하기 위해 완성차업체들이 모여들었다.
이 자리에는 현대차를 비롯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등 완성차업체들이 총촐동해 다시 살아나는 전기차 시장에서 기선을 제압하려는 차세대 전기차 각축전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콘셉트 쓰리’ 최초 공개…라인업 확대
현대자동차는 이번 IAA 모빌리티 2025에서 소형 EV의 새로운 방향성을 담은 ‘콘셉트 쓰리(Concept THREE)’가 글로벌 최초 공개됐다.
콘셉트 쓰리는 현대자동차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소형 EV 콘셉트카로, 해치백 형태의 개성 있는 디자인을 갖췄다.
그간 현대차는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아이오닉 9을 차례로 출시하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준중형, 중형, 대형 차급으로 이어지는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해왔다. 그리고 이번 콘셉트 쓰리를 통해 아이오닉 라인업을 소형 차급까지 확장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특히 해치백 차량에 대한 수요가 큰 유럽 시장을 겨냥한 이번 콘셉트카를 통해 아이오닉 브랜드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콘셉트 쓰리는 현대차의 차세대 전동화 여정을 대표하는 모델”이라며 “콤팩트한 차체 크기와 아트 오브 스틸 디자인 언어를 바탕으로 실용적이면서도 감성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모빌리티를 제공하고자 하는 비전을 담아냈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행사 기간동안 뮌헨 도심에 걸쳐 조성된 ‘IAA 오픈 스페이스’(IAA Open Space) 내 루트비히 거리(Ludwigstraße)에 580m² 규모의 부스를 마련했다.
특히 아이오닉의 핵심 디자인 요소인 파라메트릭 픽셀(Parametric Pixel)에서 착안한 유리 구조물로 7m 높이의 대형 부스를 조성하고 압도적인 존재감으로 관객들에게 브랜드의 전동화 비전을 전할 계획이다.
‘진정한 폭스바겐’ 방향성 제시…핵심 라인업 재정비
폭스바겐이 지난 3년간의 집중적인 개발 성과를 공개, ‘진정한 폭스바겐(True Volkswagen)’이라는 슬로건에서 영감을 받은 브랜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핵심은 깔끔하고 명료한 디자인, 높은 품질 기준, 성능 대비 매력적인 가격, 혁신 기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과 같은 브랜드 고유의 강점을 핵심가치로 삼아 모델 라인업을 재정비하는 데 있다. 이러한 핵심가치의 성과를 이번 뮌헨 IAA에서 공개한 것이다.
새로운 라인업의 중심에는 향후 ID.패밀리에 합류하게 되는 4종의 콤팩트 전기차를 제시했다.
△2026년 공식 출시되는 ‘ID.폴로(ID. Polo)’ △고성능 버전 ‘ID.폴로 GTI(ID. Polo GTI)’ △양산 직전 단계의 콤팩트 SUV ‘ID.크로스 콘셉트(ID. Cross Concept)’ △2027년 양산 모델로 출시 예정인 약 2만 유로의 엔트리 모델 ‘ID. EVERY1’ 등이 포함됐다.
폭스바겐은 ‘모두를 위한 전기 모빌리티(Electric Mobility For All)’이라는 브랜드의 핵심가치를 집약한 모델들은 콤팩트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자부하고 있다.
특히 ID.폴로는 새로운 네이밍 전략을 적용한 첫 번째 모델로, 기존 내연기관 모델들의 유서 깊은 이름을 ID. 패밀리에 계승하는 상징적인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폭스바겐은 전동화 시대에도 브랜드 헤리티지를 이어가며 고객에게 친숙하면서도 진보적인 전기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폭스바겐 브랜드 CEO 토마스 셰퍼(Thomas Schäfer)는 “향후 5년간 우리의 목표는 분명하며 이는 2030년까지 혁신 기술로 시장을 선도하는 대량생산 제조사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것이다”라며 “이번 IAA 모빌리티 2025는 우리가 이미 목표를 실현할 준비가 되었음을 증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 미래차 핵심 시장”…BYD 유럽 헌신 알린다
BYD는 유럽 내 첫 공장 생산 계획을 공식 발표하고, 유럽 시장에서의 첫 출발을 알렸다. 동시에 자사의 두 번째 슈퍼 하이브리드 모델인 ‘BYD 씰 6 DM-I 투어링(BYD SEAL 6 DM-i TOURING)’을 공개했다.
뮌헨 현장에서 스텔라 리(Stella Li) BYD 부사장은 최근 출시된 컴팩트 전기차이자 ‘세계 올해의 도심형 차량(World Urban Car of the Year)’ 수상 모델인 ‘BYD 돌핀 서프’과 관련한 중요한 소식을 전했다.
“이 모델은 헝가리 세게드(Szeged)에 건설 중인 BYD 유럽 공장의 첫 생산 모델이 될 것이다. 해당 공장은 2025년 말 완공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유럽을 위해 유럽에서 생산하는(Built in Europe, for Europe)” 전략의 출발점이 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유럽을 미래차의 핵심 시장으로 인식한 BYD는 혁신 기술인 ‘플래시 차징(Flash Charging)’을 소개, 유럽 도입이 계획보다 앞당겨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2026년 2분기까지 200~300개 충전소 설치가 예정돼 있으며, 럭셔리 브랜드 덴자(DENZA)가 이 변화를 주도할 예정이다.
또한 자사 모델에 대한 인증 중고차 프로그램(BYD Certified Pre-owned)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판매되는 차량은 △179개 항목의 정밀 검사 △배터리 건강도 최소 90% 보장 △보증, 긴급출동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의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어, 신차 구매와 동일한 신뢰성과 만족도를 제공할 예정이다.
BYD는 이번 프레스 컨퍼런스 현장에서는 BYD의 첫 왜건형 슈퍼 하이브리드 모델인 BYD 씰 6 DM-I 투어링(BYD SEAL 6 DM-i TOURING)이 유럽에서 최초로 공개됐다. DM 하이브리드 기술을 적용한 이 모델은 1300km 이상의 복합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