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지난해 여름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기차 화재로 인한 후유증이 아직도 진행 중이다.
화재 이후 정부의 종합대책이 발표됐으나 대부분 피부에 와 닿는 정책은 매우 미흡해 사각지대가 많은 만큼 더욱 확실한 보완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이중 모든 배터리제작사의 배터리셀 단계에서의 전수 3D CT검사를 통해 미리부터 셀 불량에 대한 선제적 조치를 촉구했고, 10년 이상 된 오래된 전기차의 BMS 등 여러 부분에서 문제점이 큰 만큼 완성도가 떨어지는 전기차의 폐차 시 지원을 통해 미리부터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큰 전기차 폐차를 유도하는 정책이다.
현재 노후경유차 폐차 시 보조금을 주는 형태와 같이 노후전기차도 같은 지원을 하면 확실히 전기차 화재 건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역시 대책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완속충전기의 충전량 제어 기능 부여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전기차 화재 이전에는 환경부는 ‘충전제어가 가능한 완속충전기’의 충전제어 기능에 대한 언급을 하다가 화재 이후 종합대책에서 명칭을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로 변경했고 급속충전기와 같이 통신기능과 충전제어의 요건을 갑작스럽게 통신기능만을 강조하는 형태로 슬그머니 변경했다.
PLC모뎀 등 통신기능 부여는 목적이 충전제어를 위한 수단으로 언급됐지만 충전제어에 대한 전기차 소유자들의 반발과 제작사의 반발을 의식, 충전제어 기능을 슬그머니 삭제한 것이다.
현실적으로 전기차 화재를 예방하는 가장 최적의 대안인 충전제어 운영방법에서 ‘충전제어’라는 용어와 이 기능 자체가 사라진 것이다.
문제는 전기차 자체에서 충전량 제어를 통해 안전하게 운전을 하는 것은 운전자가 알아서 할 몫이지만 우선적으로 지하충전소에 있는 모든 완속충전기가 자체적으로 충전량을 아파트마다 80~90% 정도로 미리부터 충전량을 제어한다면 좀 더 안전하게 전기차가 충전하고 주차할 수 있는 긍정적인 문화가 정착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발로 인해 실질적인 조치를 못하다보니 아직도 아파트들은 불안감에 전기차 소유주의 주차와 충전 제약에만 초점을 맞추는 이유다.
최근 보고된 국립환경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배터리 수명을 가장 오래 운영하는 방법은 완속으로 약 70%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안전하게 운영하면서도 배터리를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국 아파트 같은 집단거주지의 지하주차장에서는 모든 완속충전기 약 27만대가 전혀 충전제어 특성이 없고 ‘과충전 상태’가 돼 전기차에 무리가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환경부는 충전제어가 가능한 스마트제어 충전기를 보급한다고 항상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충전제어 확인이 안 되는 통신기능만을 부여하는 불완전한 완속충전기를 보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문제점을 필자는 항상 언급해왔고 보조금 지급에 대한 환경부의 역할을 강조했지만 복지부동으로 진행되는 부분이 매우 안타깝다.
지하충전소의 완속충전기는 ‘충전제어’ 기능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는 통신기능을 이용해 배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를 실질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확실한 충전제어 방법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계속 발생한다는 점이다. 특히 전기차 화재 등이 잘못하면 대형 화재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고, 제대로 된 예방차원의 준비가 덜된 상황에서 대형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지 않기만을 빌고 있다는 점이다.
우선적으로 지금이라도 환경부가 스마트제어 충전기의 정의를 제대로 자리매김하고, 기존 충전기부터 충전제어가 가능한 완속충전기로 교체하는 선제적 조치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환경부의 인식 전환을 촉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