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계약시점별 가격결정 구조 오해”...가격경쟁력 우위
일부에선 "임기 만료 앞둔 가스공사 사장 우회적 압박" 시각도

[에너지신문] 한국가스공사가 LNG도입시 민간보다 2배 이상 비싸게 수입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가스공사가 조목조목 해명하고 나서 주목받고 있다.

천연가스 공급 30년, 한국가스공사의 새로운 역할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사진은 인천LNG기지)
사진은 인천LNG기지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를 인용한 16일자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올 1월 가스공사는 mmbtu(열량단위)당 평균 24.46달러에 LNG를 수입해 평균 11.93달러인 민간 직수입 업체 도입가의 두 배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공사 수입 터미널이 있는 인천・삼척・평택・통영과, 포스코에너지・SK E&S, GS EPS 등 민간 업체 터미널이 있는 보령광양의 LNG 통관 가격을 비교한 수치”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가스공사는 LNG 통관가격은 장기계약과 스팟가격이 합산된 가격으로 공사와 민간 직수입자의 LNG 가격비교 시 장기계약은 장기계약끼리, 스팟가격은 스팟가격끼리 비교해야 왜곡이 없으며, 동일시기의 장기계약 및 스팟 가격 비교시 공사의 LNG 도입가격이 민간직수입자의 도입가격보다 비싸다고 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올 1분기 전체를 놓고 보면 민간업체(12달러)는 가스공사(20달러)의 60% 수준 가격에 LNG를 들여왔다. 2019년 1월부터 올 4월까지 40개월간 가스공사와 민간 업체들의 수입 가격을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현물가격이 30달러에 육박했던 올 1월과 달리 2달러대까지 크게 떨어졌던 2020년 2월에도 가스공사는 민간보다 30% 이상 비싼 가격에 가스를 사왔다”는 내용에 대해서 가스공사는 보다 구체적으로 해명에 나섰다.

가스공사는 이같은 내용에 대해 LNG계약시점별 가격결정 구조를 오해한 것으로, 가스공사는 국내수급안정을 최우선으로 해 필요물량을 안정적, 경제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나 수급관리 책임이 없는 민간업체들은 국제현물가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LNG를 구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국제LNG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민간업체들은 장기 및 현물계약을 하지 않고 있으며, 그로 인해 부족한 물량을 공사가 구매해 국내 수급안정을 추진하고 있다.

일례로 2000년 후반 LNG가격 상승 시 민간업체들의 직수입 포기로 국내 수급안정을 위한 공사의 물량구매 부담이 증가했으며, 2021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현물가격이 상승한 경우 민간업체들의 현물구매 축소에 따라 공사의 수급안정용 물량구매가 확대된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 '20~'21년 현물 LNG 가격($/MMbtu) 및 공사, 민간사 수입물량(만톤) >

구 분

동북아 현물가격

공사

물량(A)

민간사

물량(B)

국가 도입량

(C=A+B)

현물가격

변화(전년 비)

공사 물량 변화(전년 비)

민간사

물량(전년 비)

2020

3.83

3,082

(77%)

916

(23%)

3,998

-2.14

-292

+215

2021

15.04

3,735

(81%)

858

(19%)

4,593

+11.21

+653

-58

가스공사는 아울러 이같이 민간업체들이 국제LNG시장이 유리한 경우 직수입에 나서고, 불리한 경우에는 공사에 수급책임을 전가하는 경우가 반복되는 경우 국내 안정적, 경제적 LNG도입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민간업체에서 안정적 물량을 확보하고 충분한 재고를 비축하는 등 수급책임을 일부 부담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가스공사가 민간 업체보다 비싼 가격에 LNG를 수입해온데 대해 전문가들은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 가스공사의 계약 관행이 전혀 개선되지 않은 탓이라고 지적한다”는 내용에 대해서도 가스공사는 사실과 다르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가스공사는 축적된 LNG도입 노하우 및 네트워크 등을 통해 경제적 LNG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실제로 가스공사가 공급하는 개별요금제 LNG발전소의 경우 민간 직수입사들의 발전소보다 가격경쟁력이 우위에 있음이 급전순위에서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물량 구매 시,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수급필요성과 가격적정성을 면밀히 검토하며 가격인하를 위한 판매자 간 경쟁 유도 및 장단기 도입계약 체결 시, 외부 전문가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경쟁력있는 LNG 도입계약 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특히 가스공사는 경쟁력있는 LNG 물량확보를 통한 수급관리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2021년 동절기 아시아지역의 이상한파 발생 및 현물가격 폭등 상황에서도 수급안정을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대만의 경우 2021년 1월 기습한파 발생 시, 연료조달 실패로 126명이 동사하는 등 수급실패에 따른 피해가 막심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민간 주도의 가스, 전력시장을 운영하는 일본은 지난 2021년 1월 LNG가격 급등 시, LNG 수급불안으로 대규모 정전이 우려돼‘일본전기사업연합회’가 민간에 에너지 절약을 최초로 요청했으며, 시운전 및 정비 중인 발전기를 가동시킬 만큼 수급상황이 열악했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가스공사는 이같은 수급비상 상황이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 LNG 물량확보와 함께 수요감축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LPG 혼입, 산업용 연료대체, 타발전원 가동협력 등을 시행하는 것은 물론 특히, 2006년 이후 16년만에 도시가스 수요절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가스공사의 특정시기를 비교한 LNG도입 가격과 관련한 기사보도와 가스공사의 적극적인 해명은 이례적이다.

30여년의 국내 천연가스산업 역사를 거치면서 대다수 에너지 전문가들은 글로벌 에너지시장 변화에 따라 LNG가격이 요동치고, LNG계약시점별 가격결정 구조가 달라진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는 상황에서 LNG도입가격의 단순비교를 통해 가스공사와 민간의 LNG가격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숨겨진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가스공사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속출하고, 이례적으로 가스공사의 해명이 이어지면서 최근 임기 만료를 앞둔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여당이 공공기관장에 대한 강제적인 인사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지만 여당에서 공개적으로 전 정부가 임명한 공공기관장에 대해 불편함을 드러내고 있는데다 전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 시절 원전문제를 이유로 재판을 받고 있어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에 대해 7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가스공사의 경우 실제 지난 5월 4일 이사회에서 사장추천위원회 위원을 구성했지만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이 없어 아직 사장 공모를 추진하지 않고 있다.

관련업계의 관계자는 “최근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가스공사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보이며, 채 사장에 대한 우회적 압박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라며 “채 사장이 임기만료까지 사장직을 유지할지, 임기만료 후 신임 사장 취임시까지 임기를 유지할지 여전히 오리무중”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