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항공유 시장전망 맑고 경유‧나프타 어두워

[에너지신문] 고유가 현상이 지속되고 물가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이 향후 석유수요 확대를 전반적으로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석유제품이 급격한 공급과잉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낮지만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시 석유수급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석유제품 공급은 올해 이후 중국 등 글로벌 정제설비 신증설 설비 가동 개시로 수요 우위 추세가 점차 완화될 전망이다.
 
올해부터 중국과 중동국가의 신증설 설비가 순차 가동 개시되며 글로벌 공급량이 확대될 전망이지만 선진국 중심의 노후화된 설비 폐쇄와 정제설비의 바이오제품 생산으로 용도전환 등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대비 120만배럴 증가 수준에 그치며 급격한 공급 과잉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석유제품 수요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행 수요 증가로 항공유 및 휘발유 등 운송용 
수요 증가세가 지속되지만 경기침체로 인한 경유 및 나프타 등 산업용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가운데 고유가 지속 및 인플레이션 압력은 향후 전반적 석유 수요 확대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SK에너지를 비롯해 GS칼텍스, 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들의 원유 정제설비 능력은 357만2000배럴로 세계 정제설비 능력 중 3.7% 차지해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에 이어 세계 5위에 랭크됐다. 

357만2000배럴의 국내 원유 정제설비능력 중 국내 석유제품 소비규모는 지난 2021년 기준 256만배럴로 내수 소비량의 약 40%를 초과하는 정제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 정유설비는 중질유에서 휘발유, 등유와 경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고도화설비 비중이 높아 유럽에 비해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이 높은 특성을 갖고 있다. 

국내 정유사는 신규 정제설비 투자보다는 고도화 설비 증설 및 공정개선을 통한 공급물량 확대, 석유화학산업 및 친환경 에너지산업 등 비정유 부문과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설비 중심의 투자 확대를 추진 중이다. 

사업다각화의 경우 S-OIL이 2026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7조원 규모의 COTC(Crude 
Oil to Chemicals) 투자를 진행 중이며 현대오일뱅크 등 나머지 정유 3사도 투자 계획을 검토 중이다. 

내년에는 올해와 유사한 510억 달러 수준일 것으로 전망되며 이후 선진국 수요 정체 및 공급 확대로 인한 경쟁 심화로 수출 증가율이 제한을 받을 전망이다. 

올해 항공유, 휘발유 등 수송용 석유제품 수요회복 등으로 국내 정유설비 가동률은 전년동기와 유사한 수준에 있으나 전년 대비 유가 하락에 따른 제품가격 하락 등 역기저효과 등으로 수출액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석유제품 수출은 올해와 유사한 510억달러 수준이 예상되며 2026년까지 큰 폭의 상승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선진국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정체와 글로벌 공급 확대에 따른 경쟁 심화 등으로 큰 폭의 수출액 상승이 제한될 것이라는 평가인 셈이다. 

석유제품 장기 수요 위축 및 공급 확대에 따른 경쟁 심화가 우려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 악화 및 지정학적 불안 요인 지속 등 장기적 수요 위축 가능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중국 및 중동의 생산량 확대는 국내 주요 수출 지역인 아시아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대두됐다. 

특히 중국의 석유제품 생산량 확대 및 수출 쿼터 유지는 국내 정유사의 수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됐다. 

글로벌 석유제품 공급 확대는 제한적인 상황이나 수요회복 역시 지연될 경우 정제마진 하락 및 수출경쟁 심화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한편 에너지전환 움직임에 따른 전기차 시장점유율 확대, 미국 및 유럽 중심의 지속가능한 항공연료인 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사용 의무규제 강화 등 친환경 대체연료 수요 확대에 따른 장기적인 운송유 수요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정유·석유화학 통합설비인 COTC 개발 및 도입 추진과 기존 정제설비의 바이오제품 생산설비로의 용도 전환 등을 통한 사업다각화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됐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