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대비 2018년 2.5% 증가·2019년 3.4% 감소 추정

[에너지신문]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9년 배출량은 2018년 대비 3.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홍동곤)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8일 확정했다. 또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점검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2019년 잠정 배출량을 추정, 함께 공개했다.

2018년 발전‧화학‧반도체 배출량 증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발전‧열생산, 화학, 중전기기, 반도체‧액정 부문의 배출량 증가로 2017년 7억 970만톤 대비 1790만톤 증가(2.5%↑)한 7억 2760만톤으로 나타났다.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천연가스 발전량 증가(24.6%↑)의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1700만톤(6.7%↑) 늘어났다.

제조업·건설업 배출량은 2017년 대비 5만톤 증가(0.03%↑)했다. 세부 부문별로는 화학에서 533만톤 증가(13.1%↑)했고, 철강 416만톤(4.2%↓), 제조‧건설업-기타 부문 161만톤(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 부문 배출량은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에 따라 2017년 대비 533만톤 증가(13.1%↑)했다. 철강 부문의 경우 유연탄 소비량 감소에 따라 2017년 대비 416만톤 감소(4.2%↓)했다.

수송 부문은 국제 유가 및 국내 유류 판매가의 상승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23만톤 소폭 감소(0.2%↓)했으며 기타(상업‧공공‧가정 등) 부문은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소폭 감소(0.2%↓)했다.

이밖에 불소계 온실가스 소비 부문은 중전기기와 반도체‧액정 부문 위주로 2017년 대비 260만톤 증가(14.1%↑)했고 중전기기는 친환경 개폐기 전환으로 육불화황(SF6) 폐기량이 대폭 증가(433%↑)함에 따라 배출량도 220만톤으로 급증(83.7%↑)했다. 반도체‧액정 부문은 반도체 생산 증가로 공정가스 소비량이 증가(PFCs 27%↑, HFCs 32%↑), 배출량도 90만톤 증가(14.3%↑)했다.

이번에 확정된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국제사회에 제출되는 국가 승인 통계로서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에 활용된다.

▲ 삼천포화력발전소 전경(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 삼천포화력발전소 전경(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이 없음)

2019년,  석탄발전 감소로 배출량 줄어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 280만톤으로 2018년 7억 2760만톤보다 2490만톤 감소(3.4%↓)한 것으로 추정된다.

배출량 감소는 발전‧열생산 부문 배출량 부문(1960만톤 감소)와 기타(상업‧공공‧가정 등) 부문(210만톤 감소)에서 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대비 발전‧열생산 부문 감소량 1960만톤(7.3%↓)은 총 발전량 감소(1.3%↓),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 발전량 감소(4.8%↓),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6.3%↑) 등이 주된 요인으로 추정된다.

기타(상업‧공공‧가정 등) 부문은 연평균 기온 상승으로 난방용 연료 소비가 감소, 2018년 대비 210만톤 감소(4.0%↓)한 것으로 보인다. 수송 부문은 유류가격 하락으로 2018년 대비 170만톤 증가(1.8%↑)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액 또는 인구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국내 총생산(GDP) 10억원당 배출량은 380톤/10억원으로 나타나 온실가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 1인당 배출량은 13.6톤/명으로 2018년 대비 3.6%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지난해 10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에 따라 2019년부터 온실가스 잠정치를 추정하고, 관련 부처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정책 평가에 활용할 계획이다.

2019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에너지통계월보, 배출권거래제 자료 등 유관자료를 토대로 추정한 결과로 내년에 확정, UN에 제출하는 공식 통계와는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측의 설명이다.

한편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29일부터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누리집(www.gi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