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업주유소도 약 400개…한계주유소 대책 마련 시급

지난해 폐업한 주유소가 300개를 넘어섰다. 오랜 불황에 알뜰주유소와 셀프주유소의 가세로 경쟁이 과열되면서 소규모 주유소들이 한계에 내몰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주유소는 310개다. 또 휴업한 주유소도 393개에 달한다. 폐업 주유소는 2008년 101개, 2009년 109개, 2010년 127개으로 소폭 증가하다 2011년 들어 205개로 급증한 뒤 2012년 261개 등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경기도내 폐업 주유소가 41개로 가장 많았고 전남(37개), 강원(36개), 경북(34개) 등이 뒤를 이었다.

휴업주유소도 약 400개에 다다랐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휴업한 주유소도 393개. 주유소 휴업의 급증은 존폐 위기에 몰린 주유소가 그만큼 많아졌다는 증거다. 폐업하려면 철거와 주유탱크 정화비용 등으로 1~3억원 소요되는 데 이마저도 감당할 수 없는 업자들이 마지막 선택지가 휴업이기 때문이다.

이같은 주유소 휴·폐업 급증의 가장 큰 원인은 불황에 따른 이익률 감소로 분석된다. 주유소협회는 지난해 전국 주유소의 평균 매출이익률은 4%대로 보고 있다. 카드수수료 1.5%를 제외하면 2% 수준에 불과하고, 여기에 토지 임대료, 건물 관리비 등을 제외하면 사업자의 실질영업이익률은 1%안팎이라는 설명이다.

한국석유관리원의 ‘주유소 손익분기점 산정’ 자료(2013년 4월 기준)에도 전국 주유소의 49.5%인 6337개가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매출량이 전국 월평균 최소 운영 판매량인 713드럼(14만2600리터)에 미치지 못했다. 게다가 4103개(32.0%)는 판매량이 520드럼 미만이어서 인건비도 충당치 못했다.

주유소 시장의 ‘수요‧공급 불균형’도 문제다. 현재 전국에 운영 중인 주유소는 1만3000여개로 국내 적정 주유소 수인 8000여개보다 4000~5000개 많다. 시장 과포화상태에서 경기 불황으로 경쟁이 과열되고, 고유가 등으로 정유사‧대리점으로부터의 공급가는 상승하면서 주유소 마진이 꾸준히 줄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의 알뜰주유소 정책도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가 유가 안정을 목표로 2011년말 도입한 알뜰주유소는 1월 현재 전국 1301개로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알뜰주유소를 1300곳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 농협, 고속도로, 자영주유소들이 전환한 형태로 전체 주유소 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가격 경쟁을 유도해 이미 포화 상태인 주요소 시장에 출혈 경쟁을 일으킨 측면도 있다는 평가다.

주유소업계는 효율적인 주유소 경영구조 개선과 안정적인 전‧폐업을 유도하기 위해 한계주유소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휴폐업 주유소사업자가 영세 사업자라는 점과 휴업소의 상당수가 불법탈세석유의 온상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망이 필요하다”며 “협회에서 자체적으로 관련 공제조합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도 검토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