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형저장탱크 설치 33%↑…정부 지원사업으로 시장 활기
수입·제작업체 늘며 가격경쟁 심화…규제 개선해 보급 확대해야

올해 정부의 LPG소형저장탱크 보급 사업이 본격 시행되며 소형저장탱크 제작업계가 주목받고 있다. 극심한 침체에 접어든 LPG업계에서 지난해 설치대수가 전년대비 33% 늘며 ‘성장세’를 과시했기 때문. 시장이 커지면서 벌크로리, 부품 등 관련 업체들도 활기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를 기점으로 향후 5년간 이어질 정부사업으로 시장은 더 확대될 전망이라 소형저장탱크 시장은 LPG 업계의 구원투수로 평가받고 있다.

LPG 재도약의 선봉에 선 소형저장탱크 시장의 현황을 짚어보고  특히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500kg 이하 소형저장탱크 주요 수입·제작 업체를 소개한다.

▲ 최근 꾸준히 수요가 늘고 있는 소형저장탱크 시장이 올해 정부가 에너지취약계층을 대상으로 LPG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을 본격 시행하면서 한층 더 활성화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한 복지시설에 설치된 소형저장탱크 모습.
사면초가 LPG 시장

LPG 업계의 최근 상황은 말그대로 사면초가다. 극심한 수요 부진 때문이다. 프로판 시장은 도시가스에 넘어간 지 오래고, 그나마 산업을 지탱하던 수송용 시장마저 위축되고 있다.

올 상반기 LPG자동차는 6633대 감소했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유종별자동차현황에 따르면 2013년 6월말 기준으로 LPG자동차는 240만8852대가 등록돼 2012년 12월말 241만5485대와 비교해 0.27% 감소했다. 점유율을 따지면 12.7%로 지난해 말 12.92%와 비교해 0.22% 줄었다. 일반인의 선택권이 제약돼 있는 실정에서 차량모델도 많지 않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차량이 줄면서 LPG충전소 판매량도 하락하고 있다. 국내 LPG충전소 판매량은 2010년 623만964톤에서 2011년 605만1149톤으로 하락했고 2012년에는 590만5126톤으로 또다시 떨어졌다. 때문에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프리미엄을 형성하던 LPG충전소를 폐업하거나 매매·임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9월 정기국회 통과를 앞둔 택시지원법도 발목을 잡고 있다. 이 법안은 430만원의 CNG 차량 개조비용 지원 및 향후 5년간 5만대 감차를 골자로 한다. 현재 택시는 LPG충전소 매출의 38%를 차지하는 최대 고객이다. 법안 통과로 LPG택시가 최소 20% 줄어든다면 그에 따른 LPG 수요 감소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LPG수입사가 수익 일부를 줄이면서까지 정부 물가안정정책에 참여했으나, 향후 수입물량이 줄어들고 수익성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앞으로는 가격경쟁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한 수입사 관계자는 “타 연료와의 공정한 경쟁을 위해서라도 균형발전이 필요하다”며 “LPG자동차 개발과 이용제한 축소 등 제도 개선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형저장탱크 시장은 ‘활기’

경직된 LPG업계 전반의 분위기와 달리 소형저장탱크 시장은 활기를 띄고 있다. 안전성과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소비자에게 빠르게 침투하고 있는 것.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2012년 연말 기준 전국 소형LPG저장탱크 설치 현황은 3만2032개. 전년도(2만4073개)보다 33%(7959개) 증가했다. 특히 안전공사의 조사에서는 법정검사에서 제외되는 250kg 미만의 소형저장탱크가 빠져 실제 증가율은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용량별로는 0.5톤 이하가 1만4961개, 0.5톤 초과∼1톤 이하는 7151개, 1톤 초과∼1.6톤 이하는 2402개, 2톤 초과∼미만은 5370개로 집계됐다.

0.5톤 이하 소형저장탱크가 대폭 증가하면서 탱크에 LPG를 공급하는 탱크·벌크로리 시장에도 변화가 일었다. 공급량이 큰 탱크로리는 전년대비 21%(317대)가 줄어든 반면, 비교적 소규모를 운송하는 벌크로리는 19.3%(62대)증가했다.

특히 벌크로리의 경우 5톤 초과~10톤 이하 벌크로리가 331대로 전년(277대)대비 19.4%(54대) 증가했고, 5톤 이하도 142대로 일년간 19.3%(23대)나 늘었다.

반면 10~15톤은 66대로 전년(75대) 보다 9대, 15톤을 초과하는 벌크로리는 23대로 전년(29대) 대비 6대 감소했다. 10톤 이하 소형 벌크로리가 전체 운행대수 증가를 견인한 셈이다.

업계는 올해 시장이 더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 보급사업이 시작됐고, 용기연한제 시행에 따라 수요가 늘 것이란 전망이다.

정부 LPG소형저장탱크보급사업은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이나 소외지역의 사회복지 시설과 같은 에너지 빈곤층 시설에 LPG소형저장탱크와 공급시설을 지원해 연료비 절감·안정성 향상·공급 안정 등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복지성격이 강하나 업계는 정부가 LPG 산업에 지원하는 첫 대규모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찾고 있다. 또한 정부 사업 후 지역 사회 확산 효과 및 업계 경쟁력을 약화시킨 유통구조 개선도 기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사업으로 진행하는 만큼 추후 효과에 대한 공식적인 수치가 나올 것”이라며 “구체적인 입증이 가능해지므로 일반에서 더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형저장탱크 업계는 올해 6월부터 본격 시행된 용기연한제 역시 기회로 보고 있다. 판매업자들이 신규 용기를 구매하기보다 탱크로 전환, 전반적으로 1만여개 이상 보급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벌크가스판매협의회 관계자는 “50kg 용기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것보다 200kg 등 소형저장탱크를 쓰는 것이 소비자나 가스공급자 입장에서 경제성이 높다”며 “아직까지 실수요 전환은 크지 않지만 점차 판매업체들이 소형저장탱크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시장 생성 ‘수입업체’ VS 국산 기술 ‘국내업체’

수요가 늘면서 소형저장탱크를 제작 판매하는 업체도 호황을 맞았다. 지난해 검사된 LPG저장탱크는 8209개로 전년 동기 대비 5557개보다 48% 늘었다. 특히 2011년부터 보급된 200kg 탱크 수요가 크게 늘어, 지난해 200kg 탱크 검사수는 4621기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업계관계자들은 올해도 비슷한 증가폭을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소형저장탱크 시장은 앤젠과 유인솔루션으로 대표되는 수입업체와 한국이토, 다임폴라특장, 부영에너지, 현진티엔아이 등 국내 제작업체들이 양분하고 있다.

시장 규모가 늘면서 제작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지난해 23개 업체에서 올해는 한국이토와 손을 잡은 KPP 등이 가세, 경쟁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특히 그간 수입사가 장악한 200kg 탱크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하다. 수입업체는 선진기술과 경량화를, 국내 제작업체는 국내산업 생태계 보호와 고품질의 부품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일부에선 가격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자칫 출혈경쟁으로 번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다.

한 제작업체 관계자는 “LPG탱크 수요보다 업체수가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공급과잉, 출혈경쟁 등으로 수익이 악화되면 부품·기술투자가 어려워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당장의 수익을 위한 가격경쟁보다는 앞을 내다보고 신제품 개발을 통한 품질경쟁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장 확대 위해 규제 완화 절실

업계는 시장이 더 활성화 되려면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소형저장탱크의 재검사기간 연장, 250㎏ 이하 용량의 소형탱크에 대한 이격거리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다.

5년마다 실시하는 외관검사를 폐지하고 대신 5년마다 안전밸브를 신품으로 전량 교체, 20년 차에 개방검사를 받도록 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설명이다.

또 1000㎏ 미만 소형저장탱크는 가스충전구로부터 토지경계선에 대한 수평거리는 0.5m 이상, 탱크 간 거리는 0.3m 이상, 가스충전구로부터 건축물 개구부에 대한 거리는 0.5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설치에 제약이 많다는 지적이다.

소형저장탱크의 안전밸브 높이 규정과 보호대 기준 등을 개선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안전성 향상에 대한 기여도가 낮을 뿐더러 가스 공급에도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다. 한국벌크가스판매협의회는 △소형벌크 가스방출관의 방출구 높이 기준 완화 △소형벌크 보호대 규격 현실화 △안전밸브 가스방출관의 방출구와 장애물 간 수평거리 기준 세분화를 산업부에 건의한 상태다.

한 수입업체 관계자는 “소형저장탱크는 50kg 용기보다 안전성이 크게 개선됐으나 규제가 많다”며 “보급 확산을 위해서는 정부가 업계 의견을 반영해 규제를 개선·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