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위한 CCUS 상용화·민관협력 박차
탄소중립 위한 CCUS 상용화·민관협력 박차
  • 정애 기자
  • 승인 2021.09.09 0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CCUS추진단 사무국 개소...민관협력 강화 방안 논의

[에너지신문]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민관합동 ‘K-CCUS 추진단’ 상설 사무국 개소식을 개최하고,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조기 상용화와 기후위기대응 신산업화를 위한 민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K-CCUS 추진단은 CCUS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민관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난 4월 발족했으며 이후 이사 기관 구성, 추진단장 선임, 전문위원회 및 운영위원회 구성 등 추진단 체계를 속도감 있게 정비 한 바 있다. 9월 현재 69개 기관회원 및 분야별 전문가 등 9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추진단은 이날 상설사무국 개소로 추진단장 중심의 정책기획, 기술지원, 인력개발, 대외협력 4개분야 전담팀을 구성하고 CCUS 산업 육성, 국내외 기술·정보 교류 활성화, 기술개발, 인력양성 및 국제협력 등 본격적인 업무를 수행할 예정임을 밝혔다.

▲ K-CCUS추진단 사무국 개소식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K-CCUS추진단 사무국 개소식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먼저 오는 27일 ‘CCUS 아카데미’를 개설해 CCUS 관련 기업 재직자, 연구자,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포집·저장·활용·정책 등 각 분야 맞춤 교육을 실시, 연간 120명 이상의 CCUS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10월부터는 주요 업종별 릴레이 세미나를 개최한다. 주요 업종 기업 및 협회, 분야별 전문가를 망라하는 기술·정책교류 활성화 장을 마련하고, 상생 협력체계로 확대·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추진단은 기업의 기술개발 및 정책 수요를 발굴하고 기술 확산과 산업 생태계 창출 방안을 마련, 정부에 제안할 예정이다. 이달 중 추진단 전문위원회(국내 전문가 40여명 구성) 및 분야별 업종 기업·협회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 기획에 착수한다.

강경성 에너지산업실장은 “CCUS 기술은 탄소중립 핵심기술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CO2 포집과 수송, 저장 및 활용을 연계하는 대표적인 융·복합 산업으로 기업간 연대와 민관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도 추진중인 CCUS 지원 계획을 착실히 이행하고, 업계와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산업기반 조성 및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 CCUS 기술을 탄소중립 신산업으로 육성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정부는 개소식 이후 이어진 간담회에서 연말까지 △주요 다배출 업종 포집·활용 저장 실증 착수 △국내 대륙붕 저장소 유망구조 도출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 실증 예타 △대규모 CCU 실증 지원 예타 등을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에 업계는 발전, 수소, 시멘트, 석유화학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기 위한 투자 확대 계획을 밝히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정애 기자
정애 기자 다른기사 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