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배터리 개발 지원·REC 가격 안정화 정책 필요
REC 가중치 5배 적용·일몰된 특례요금제 연장 검토해야

[에너지신문] 정체기에 빠진 국내 ESS 산업을 활성화하고, 급성장 중인 글로벌 ESS 시장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서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 지원 및 REC 가격 안정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 장기적으로는 민간 중심의 성장이 가능한 시장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에기평이 개최한 제4회 탄소중립 테크포럼에서 진창수 에기연 책임연구원은 'ESS산업의 현주소 및 2050년 성장전망' 발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국내 ESS 시장은 2018년 특례요금제 적용 및 REC 가중치 5배 적용으로 전년대비 20배 성장한 3.7GWh, 2조원 규모에 도달하며 전성기를 구가하는 듯 했다. 그러나 2019년 화재사고 및 특례요금제 일몰, REC 단가 하락 등으로 시장이 축소 및 지연되는 상황을 맞이했다.

▲ 지난해 에너지신산업 융합시스템 보급사업을 통해 준공된 ESS.
▲ 국내 ESS 시장 성장을 지원해 급성장하는 글로벌 ESS 시장과 보폭을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따라 태양광 연계용 ESS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것을 우려하는 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진창수 책임은 이처럼 어려운 환경에 놓인 국내 ESS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화재 원인에 대한 철저한 분석, 그리고 차세대 배터리 개발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해외 사이트 ESS 설치 및 운영방식 등을 참고해 국내 사이트에 적합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전고체전지 등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와 레독스플로우와 같은 화재 위험이 없는 배터리의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량을 조정해 급락한 REC 가격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화재사고 조사 등으로 지연된 사업 손실 보전을 위해 현 REC 가중치 및 특례요금제도 추가 연장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장기적으로는 해외사례 등을 참고해 민간 ESS 시장 조성 및 민간 주도의 산업생태계 형성을 유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글로벌 ESS 시장은 오는 2050년까지 연평균 40%대의 고속 성장이 예상된다. 용량 기준 2017년 4.8GWh에서 2025년 70GWh, 금액 규모로는 2017년 24억 2000만달러에서 2025년 198억 9000만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한편 글로벌 ESS 시장은 미국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재생에너지 연계 등 각 나라별 전력망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으로 ESS 적용은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