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정책에 12월 LPG가격 동결 VS 인상?
물가 정책에 12월 LPG가격 동결 VS 인상?
  • 조대인 기자
  • 승인 2023.11.20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g당 130원 안팎 미반영분·인상요인 처리 변수
▲ 서민들의 물가 인상 부담이 높아진 가운데 12월 국내 LPG가격이 인상될지, 아니면 동결될지 시선이 쏠리고 있다(사진은 특정 기사와 무관함)
▲ 서민들의 물가 인상 부담이 높아진 가운데 12월 국내 LPG가격이 인상될지, 아니면 동결될지 시선이 쏠리고 있다(사진은 특정 기사와 무관함)

[에너지신문] 12월 국내LPG가격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국제LPG가격 상승에 따른 인상요인을 포함해 서민물가 안정을 위해 인상요인 중 일부만 반영함에 따른 누적 미반영분을 고려할 경우 kg당 130원이 넘어서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SK가스와 E1 등 LPG수입사와 한국LPG산업협회, 한국LPG판매협회중앙회, 한국LPG배관망사업단 등 유관기관과 ‘LPG시장 점검회의’를 갖고 난방용 수요가 집중되는 동절기 LPG가격 안정화를 당부하고 나선 것도 고려 대상이다.

또한 한국전력공사의 200억원이 넘는 부채 규모, 불어나는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등에도 정부가 가격 인상을 자제해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으며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은 물론 추가적인 부담 완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시국에 LPG가격이 오르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적지 않다는 점을 LPG수입사도 가볍게 여길 수 없는 분위기다. 

특히 내년 4월10일 열리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있어 정부와 여야 각 정당은 경제성장과 물가 안정에 따라 달라질 민심의 향배에 귀 기울일 수밖에 없어 LPG수입사로서도 미운털이 박히지 않을 수 있도록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LPG가격을 올리지 않고 동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이지만 이럴 경우 경영실적이 나빠지게 돼 주주가치를 훼손할 뿐 아니라 신재생과 수소 등 신규산업에 대한 투자 여건 조성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렇다고 물가안정을 위한 정부 정책에 일부 협조하고 경영실적 개선을 위해 LPG가격 인상에 나설 경우 혹시 불이익(?)이라도 받게 된다면 소공인은 물론 자영업자, 택시 등 주요 LPG사용자들이 떠안게 된 연료비 부담 증가에 대한 불만보다 더 큰 댓가(?)를 치를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 

미반영분을 제외한 12월 국내 LPG가격 산정요인만 놓고 볼 때 인상폭은 kg당 15원 안팎으로 그렇게 많은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국제LPG가격이 프로판은 10달러 오른 610달러, 부탄은 5달러 상승한 620달러로 각각 결정되면서 평균 7.5달러 인상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프로판이 200달러 올라 평균 67달러, 부탄은 240달러로 올라 평균 80달러를 기록하면서 발생됐던 미반영분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여기에다 20일 현재 환율은 전일대비 9.5원 내린 1294.40원으로 평균 1326.31원을 나타내며 전달 1348.97원 대비 22.66원 하락했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이스라엘과 팔래스타인 전쟁등에 따른 LPG선박 수송 위험도와 난방용 수요 증가에 증가한 선박 운임 부담이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요인들을 종합할 때 미반영분과 국제LPG가격 상승에 따른 인상요인으로 LPG수입사는 kg당 120~130원 안팎을 올려야 하는 입장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결국 SK가스와 E1 등 LPG수입사는 실적을 위해 인상요인의 일부라도 반영하는 방안을 선택할지, 아니면 자영업자 또는 택시 등 LPG주요 사용자의 부담을 낮춰 정부의 정책적 부담을 낮추는 선택을 할지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조대인 기자
조대인 기자 다른기사 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