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비 미반영 따른 부작용·판매량은 ‘전년 비슷’
가스공사 재무구조 악화‧도시가스 수요이탈 악영향

[에너지신문] 올해 2월 발생한 러-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에너지시장이 요동치면서 국제 LNG 현물가격이 급등했다.

특히 유럽의 공급불안으로 유럽과 아시아 간 LNG 물량 확보 경쟁이 격화되면서 천연가스 가격은 역대 최고가격을 기록하는 등 국제 LNG시장이 판매자 우위시장으로 전환되고, 국내 천연가스 수급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동절기 천연가스 수급 우려에 대비해 한국가스공사가 긴급히 물량확보에 나서면서 겨울철 수급위기는 모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동절기 수급안정을 위해 범국가적인 에너지절약 캠페인은 불가피하다.

이같은 국제 LNG 현물가격 상승은 수입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는 국내 에너지가격의 대폭적인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전력의 원자재 가격 상승은 전력생산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당기순손실 폭을 확대시키고,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규모가 눈덩이처럼 증가했다. 그동안 정부가 정치적 판단에 따라 물가안정을 이유로 전력 및 가스요금 인상을 유보해 왔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도 올해 요금 인상분의 일부를 반영해 전력 및 가스요금을 소폭 인상했지만 올해말 기준 한전의 당기손손실은 30조 내외가 발생하고,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은 8조 8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가스요금의 경우 올해 MJ당 5.47원을 인상해 38.5% 올랐지만 미수금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으로 앞으로 4~5년에 걸쳐 미수금을 회수하는 방안이 논의중이다.

그동안 LNG 수입 가격을 적기에 국내 요금에 반영하지 않고 미뤄오다 한꺼번에 요금을 인상하다 보니 실제 국민들이 체감하는 전기 및 가스요금은 매우 가파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가스공사의 미수금이 쌓이고 재무구조가 악화되면서 부채비율도 상승하고 있다. 이에 LNG수입을 위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채권발행한도를 기존 4배에서 5배로 상향하는 ‘한국가스공사법’이 국회에 상정돼 우여곡절 끝에 통과됐다.

가스공사는 신임 사장 선임을 둘러싸고 홍역을 앓았다. 1차 공모에 이어 2차 공모를 실시하는 진통을 겪은 후 지난 12월 9일 최연혜 사장이 취임했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올해 한국가스공사의 천연가스 판매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약 37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가스공사에 따르면 11월말까지 발전용은 1646만 9000톤, 도시가스용은 1685만 7000톤 등 총 3332만 6000톤을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총 판매량은 이다. 이는 지난해 11월말까지의 판매량에 비해 약 70만톤이 증가한 것으로 전년동월대비 비슷한 수준이다.

올해 도시가스 시장도 국제 LNG가격 영향을 받았다.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면서 내수경기가 살아나 도시가스사들의 외형적 판매실적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천연가스 도매요금의 적기 미반영으로 민수용과 산업용의 가격 왜곡 현상이 발생하고 가격경쟁력을 상실함으로써 수요처 이탈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신규 수요개발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데도 애를 먹었다. 그나마 국내 발전사를 중심으로 수소연료전지발전설비가 늘어나면서 도시가스사들의 판매량 증가에 기여했다.

올해에는 가스AMI시스템 보급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됐고, 고객중심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 도시가스사들이 활발하게 플랫폼 구축에 나서 성과를 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