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염색산단 탄소중립 친환경 산업단지 조성사업’ 추진
대도시 탄소중립 전환 모델 제시…‘그린수소’ 기반 발전 조성

[에너지신문] 대구광역시가 염색산업단지를 수소 중심의 친환경 탄소중립 산업단지로 변신을 꾀한다.

▲ 대구 염색산업단지 전경.(대구광역시 제공)
▲ 대구 염색산업단지 전경.(대구광역시 제공)

대구시는 ‘탄소중립기본법’ 및 ‘국가 2050 탄소중립 전략’에 따라 친환경 탄소중립 산업단지로 전환하는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하고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대구시도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5% 감축하고, 2040년까지 70% 줄이며, 2050년 탄소중립을 이룬다는 계획 하에 온실가스 감축 활동 확대·강화에 노력하고 있다.

무엇보다 염색산업단지는 온실가스 다량 배출시설인 열병합발전시설과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이 밀집해 있어, 대구시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해 염색산업단지의 친환경 탄소중립 전환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 염색단지 내 열병합발전시설에서는 2018년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이 연간 80만톤으로, 대구 총 배출량 934만톤의 8.6%를 차지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역시 2018년기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연간 527톤으로, 대구 총배출량 5382톤의 9.8%일 만큼 큰 비중이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염색산업단지의 탄소중립 친환경산업단지 전환 사업을 윤석열 정부 지역 공약과제로 반영하고, 대구시 탄소중립 대표 과제로 설정해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염색산업단지를 ‘친환경산업단지’로 전환하는 과제는 대도시 탄소중립·녹색성장 전환의 모델이 되는 프로젝트로, △유연탄 발전설비를 수소기반 발전 시스템 운영체계로 구축 △ 바이오가스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발전설비 구축 병행 △산업단지 에너지 관리 효율화 및 온실가스 감축설비 보급 △도심 공업지역 내 탄소중립 상징 기반시설 조성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구상안은 바이오가스, SRF(고형폐기물연료) 등 지역 내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활용하는 친환경 무공해 에너지원인 ‘그린수소’ 기반의 발전설비를 조성한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

염색산단 생산공정 활용을 위해 통상 발전설비로 활용되는 수소연료전지를 스팀 생산 모델로 적용하는 선도 모델로 대구시가 기술력을 선점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에 국비 4000억원, 시비 400억원, 민자 5600억원 등 총 1조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으로, 향후 에너지 수요량 조사·분석, 발전설비 구조 설계 과정을 거쳐 산출내역을 세부 조정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2021년 7월부터 전문가·관련기관·염색공단 등으로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사업 구상안을 논의해왔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실효성 있는 사업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사업계획 수립 단계부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관련 기관·단체 등과 소통·협업체계를 상시 가동할 방침이다.

아울러 사업 취지에 대한 공감대 확보와 수소연료전지의 안정성 등과 관련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 지역 주민, 시민단체 등과도 계속 소통하고 의견을 반영하기로 했다.

현재 구체적인 사업계획 마련을 위해 2건의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도심산단의 탄소중립 첨단산업단지 전환 기본계획 수립’(’22. 3~9월, 경북대 산학협력단)을 통해 발전설비 전환 최적 모델을 도출하고, ‘염색산단 업종 전환 등 중장기 수요량 분석’(’22. 2~11월, 대구녹색환경지원센터)에서 에너지 수요량 조사·분석을 통해 발전설비 규모 및 단계별 전환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 전환을 통해 국가적 측면에서 화석연료 기반 산업의 전통과 경쟁력을 탄소중립 패러다임에 맞게 계승·발전시키는 모델을 도출하고, 인구 밀집 대도시 지역 내 친환경·탄소중립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청사진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산업화 시대 도시 성장 및 경쟁력의 원천인 섬유산업을 탄소중립시대 도시 재도약의 동력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로 만들고, 미세먼지, 악취, 백연을 다량 배출하는 대구 북서지역 관문의 산업시설을 친환경 청정산업단지로 개선하며,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자립도시의 기반을 만들 것으로 평가했다.

대구시는 이 사업의 추진 명분이 부족하다는 의견에는 향후 지역 내 에너지 비용 부담 증대 및 지자체 에너지 자립 요구 강화가 예상되는 상황에, 해당 시설은 대구시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즉시 추진돼야 한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