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우리나라 조선산업 수주량 1744만CGT 기록
고부가(1252만CGT)‧친환경선(1088만CGT) 세계 1위
고부가·친환경 선박, 국내 주력 선종으로 자리매김

[에너지신문] 2021년 국내 조선산업이 1744만CGT를 수주, 2013년(1845만CGT) 이후 8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 현대중공업그룹이 세계 최초로 건조한 LNG추진 대형 컨테이너선의 시운전 모습(사진제공: 현대중공업그룹)
▲ 현대중공업그룹이 세계 최초로 건조한 LNG추진 대형 컨테이너선의 시운전 모습(사진제공: 현대중공업그룹)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2021년 우리나라 조선산업 수주량 1744만CGT을 기록했다고 발표하며, 2020년(823만CGT) 대비 112%, 코로나19 상황 직전인 2019년(958만CGT) 대비 82% 증가, 그간 침체됐던 국내 조선산업이 회복을 넘어 재도약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지난해 전세계 발주량(4696만CGT) 중 국내 수주비중은 37.1%이며,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수주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전체 수주량 중 고부가가치 선박(1252만CGT)이 72%, 친환경 선박(1088만CGT)이 62%를 차지, 고부가·친환경 선박이 국내 주력 선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국내 수주실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선박의 경우 전 세계 발주량 1940만CGT(302척) 중 65%에 해당하는 1252만CGT(191척)를 우리나라가 수주하며,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선종별로 살펴보면 최근 선가가 상승 중인 대형 LNG운반선(174k㎥이상)의 경우 전 세계 발주량의 89.3%를 우리나라가 수주했으며, VLCC는 88%를, 해운운임 상승으로 발주량이 크게 늘어난 대형 컨테이너선(1.2만TEU 이상)은 47.6%를 우리나라가 수주했다.

특히, 조선·해운 간 상생협력 차원에서 지난해 6월 29일 현대중공업 및 대우조선해양과 HMM이 계약한 1.3만TEU급 대형 컨테이너선 12척(65만CGT, 1.8조원)은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점유율 1위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최근 국내 수주비중이 지속 상승하고 있는 친환경선박의 경우도 전 세계 발주량 1709만CGT 중 64%에 해당하는 1088만CGT를 우리나라가 수주, 전 세계 수주량 1위를 달성했다.

특히 전세계 친환경선박 발주량 중 국내 수주비중은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2019년 57.4%를 기록했고, 2020년 62.2%를 달성했으며, 2021년에는 63.6%까지 비중을 끌어올렸다.

연료별로는 우리나라 전체 친환경 선박 수주량 중 약 82.4%가 LNG 추진선박이며, LPG추진 선박(11.6%), Methanol 추진선박(4.5%)이 뒤를 이었다.

2021년 우리나라 대형 조선 3社도 LNG·LPG운반선, 컨테이너선, 유조선(탱커)을 중심으로 목표 수주액을 크게 초과 달성했다.

현대 3사(현대重, 현대미포, 현대삼호)는 LNG선 255만CGT, 컨테이너선 251만CGT, LPG선 121만CGT, 탱커 124만CGT 등을 수주, 목표수주액(149억달러) 대비 53%를 초과한 228억달러의 수주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중공업은 컨테이너선 237만CGT, LNG선 190만CGT, 탱커 24만CGT를 수주, 목표수주액(91억달러) 대비 34%를 초과한 122억달러의 수주실적을 이뤘다.

대우조선해양도 컨테이너선 147만CGT, LNG선 137만CGT, 탱커 55만CGT, LPG선 27만CGT를 주문 받아, 목표수주액(77억불) 대비 40%를 초과한 108억불의 수주실적을 완수했다.

중형조선사의 경우도 2021년 구조조정을 완료 등에 따라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영업을 추진하며, 전년대비 2배 이상의 수주실적을 달성했다.

이를 통해 2021년 국내 선박 수출에서도 전년(197억달러) 대비 16% 증가한 230억달러를 기록하며 2017년 이후 4년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발주량이 반등한 2021년과는 달리 2022년 글로벌 발주는 전년(4696만CGT)대비 23.3% 감소한 3600만CGT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클락슨 Forecast Club은 2020년 코로나19로 발생했던 이연 수요가 2021년에 대부분 해소됐고, 2021년 수주계약 증가에 따른 조선소의 슬롯 제한, 선가 상승에 따른 선주의 발주 시기 관망 등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