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석주 기자
▲ 신석주 기자

[에너지신문] 최근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50개의 폐업 주유소가 방치돼 토양을 오염시킨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다시 한 번 폐업주유소에 대한 문제점이 재조명받고 있다.

이 문제는 하루이틀 지적된 일이 아니다. 그동안 휴·폐업 주유소의 관리 부재 및 장기 방치로 인한 안전상 위험과 토양오염 등이 끊임없이 지적됐지만, 이렇다할 해결책 없이 시간만 흘러온 게 사실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휴·폐업 주유소는 2016년 590곳, 2017년 562곳, 2018년 886곳, 2019년 731곳, 2020년 737곳으로, 연평균 701곳의 주유소가 영업을 중단하고 있다.

주유소 업계의 구조조정은 그 속도가 너무 빠르고 대도시와 지방 소도시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안전조치에 대한 의무가 없어 아무렇게나 방치되기 일쑤고, 산업부, 환경부, 소방청 등으로 다원화된 관리체계는 여전히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상황이다.

여기에 전기차 등 친환경차 확대 정책으로 주유소 구조조정은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 문제는 감당할 수 없는 페업 비용으로 문을 닫고 싶어도 닫을 수 없는 막막한 상황에 사업자들은 두번 울고 있다. 때문에 폐‧휴업을 택하는 주유소의 수는 늘고 있다.

이처럼 주유소 상황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다시 한번 휴폐업 주유소의 상황이 대두됐고,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송갑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 안전 및 환경오염과 직결된 폐업 주유소의 장기 방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원화된 업무 체계를 일원화하고 관련 법령 및 통계조사 방식 등을 개선해 관리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만큼은 주유소 관계자를 비롯해 정부도 위기의식을 갖고, 체질개선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막막한 주유소업계에 시원한 사이다같은 해결책을 찾는 기회를 마련하기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