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탄소중립 실현 위한 청정수소 기술 포럼 개최
산·학·연·관, 청정수소 생산 확대 위한 방안 논의
연내 청정수소 공급방안 담긴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발표

[에너지신문] 국내 그린수소 분야의 산업계,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들은 한 자리에 모여 ‘그린수소 생산 확대를 위한 발전 방안’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했다.

탄소중립 이행에 수소에너지의 역할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그린수소 생산 확대를 위한 발전방안’을 위해 정부와 국내 그린수소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댄 것이다.

▲ 청정수소 테크포럼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모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청정수소 테크포럼에 참석한 주요 관계자들이 모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수소융합얼라이언스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공동으로 ‘청정수소 기술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주요 국가들이 탄소중립 실현 및 청정수소 경제로의 전환을 발표하고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 프로젝트를 활발히 추진하는 가운데, 국내 관련 기술력과 산업 경쟁력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장치 및 해외 그린수소 생산‧도입‧운송 관련 핵심 기술개발의 방향과 그린수소 생산시스템 실증 및 상용화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포럼에서 박정호 한국에너지공대 부총장은 기조발표를 통해 세계 그린수소 생산시장, 가격, 기술 동향 및 특징을 설명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그린수소 생산체계에 대한 다양한 고려 요인과 발전 과제를 제시했다.

하형은 SK(주) 부사장은 대규모 안정적인 청정수소 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수소 산업생태계 조기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그린수소 생산 원가 절감을 위한 기술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무석 코오롱인더스트리 이무석 상무는 청정그린 수소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부품 기술 동향을 설명하고, 물을 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장치의 주요 소재‧부품의 가격경쟁력 확보 및 차세대 기술개발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육상과 해상풍력발전 사업에 이어 풍력발전단지에서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풍력발전단지의 심야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기술로 물을 전기 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장종현 KIST 박사는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부품과 종합 시스템 기술 동향을 설명하고, 다양한 실증 및 사업화를 통한 국내 그린수소 산업경쟁력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강경성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이날 포럼에서 “그린수소를 포함한 청정수소 산업은 전‧후방 산업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으로 연구개발 역량 확충과 선제적 투자가 이뤄진다면, 미래 성장 동력과 일자리 창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강조하고 “국내 기업의 청정수소 생산 확대 및 글로벌 수소시장 선점을 위해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과 청정수소 발전전략을 연내 마련,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날 포럼에서는 소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이 좌장으로 '청정수소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회에는 양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본부장,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이해원 ㈜두산 부사장 및 김태형 포스코 그룹장이 참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청정수소 도입에 대한 필요성에 모두 공감하면서, 청정수소 확대를 위해 전주기 핵심 기술개발, 인프라 확대 및 경제성 확보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토론자들은 수전해 장치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기술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간헐성을 보완하고, 에너지저장 수단으로서 역할도 가능하며 다양한 산업분야의 원료 및 수소용 연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청정수소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전주기 분석을 통한 청정수소 가격 목표 설정 및 로드맵을 수립하고, 초기 경제성 확보를 위한 지원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소재‧부품, 인프라 등 핵심 기술개발 및 다양한 실증 및 사업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그린수소 산업경쟁력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문재도 H2KOREA 회장은 “정부 리더십 강화와 민-관 파트너십이 견고해져 수소산업 전주기 뿐만 아니라 청정수소 기술과 인프라 분야에 투자와 지속적인 육성·지원이 이어진다면, 대한민국이 퍼스트무버로서 글로벌 수소경제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