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진흥회 "3대 기술 外 연관산업까지 확대 필요"
탄소중립기술 범위에 친환경 전기기술 등 포함 의견

[에너지신문] 최근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배터리·백신 등 3대 국가전략기술의 R&D 및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이 전기기기 등 연관산업에까지 확대 적용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한국전기산업진흥회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경영환경에서 이번 세제 개편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면서도 "국가전략기술의 범위가 특정화됨으로써 공급망 주도권과 대외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목표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특히 배터리 등의 공급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계산업의 R&D가 뒤따라야 하며, 전후방산업 파급효과가 크고 고도로 분업화된 산업생태계가 상생 성장할 때 실효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투자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국가 기간산업인 전기산업 분야에 대한 세제지원이 이뤄질 경우 관련 R&D와 시설 확충을 위한 투자 여력 확보와 산업 활성화 측면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진흥회의 설명이다.

▲ 2019 전기산업진흥회 정기총회가 열리고 있다.
▲ 국가전략기술 세제지원 대상에 전기산업이 포함돼야 한다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사진은 2019년도 전기산업진흥회 정기총회 전경.

최근 신재생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강화로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조사기관 QY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은 2020년 46억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26.9% 성장, 2026년 24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ESS는 배터리와 EMS(에너지관리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종합 시스템산업으로 경제·사회적 가치와 산업 파급효과가 큰 전략기술의 핵심이다.

따라서 ESS 연관기업에 대한 균형 있는 신재생 기술투자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와 함께 PCS 같은 시스템 통합(SI)에 투자한 산업계에도 R&D 및 세제지원이 이뤄지고, 국가전략기술로 동반 지정돼야 한다는 것이 진흥회를 비롯한 전기산업계의 주장이다.

이들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서는 전기산업 특성에 맞는 디지털 융합 등 차세대 신기술 적용, 고효율화·친환경화·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생산구조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연적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세제 혜택도 함께 확대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산업계에 따르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설비효율화, 공정개선, 신규설비 도입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에너지 전환, 냉매 및 SF6(육불화황) 감축 등을 위한 R&D 투자와 실천전략을 선제적으로 마련해 가고 있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형 친환경 절연소재 기반 전기기기 기술개발과 함께 전동기 효율향상 설계 및 제조 기술개발 등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도가 높은 현장 특화기술을 중심으로 탄소저감 R&D 전략 핵심과제를 발굴, 추진 중이다.

SF6 가스를 사용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CO2 배출량은 연간 약 196만톤 수준으로 탄소 저감형 친환경 절연소재를 개발할 경우 2030년까지 CO2 배출량은 130만톤, 전동기 효율향상 설계 및 제조기술을 확보하면 전력사용량 절감을 기준으로 총 783만톤 가량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자균 전기산업진흥회 회장은 "독일의 '첨단기술전략 2020'에서 5대 핵심 기술개발 분야에 이산화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 지능형 에너지 공급시스템, 신재생에너지 등 기후·에너지 분야가 포함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생태계 전반의 친환경화 기술을 통한 탄소중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가 신성장·원천기술에 대한 시설투자 세제지원 시 탄소중립 기술을 크게 확충한다면 전기산업계의 경쟁력이 한층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기진흥회 관계자는 "전기산업은 AI, IoT, 빅데이터 등의 기술 발전과 융·복합화 패러다임 전환에 부합되는 산업으로 국가의 전력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기자재 공급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한다"며 "친환경 기기 개발 및 ESS 등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 대한 R&D 투자가 활성화되고 세제지원 등의 동기부여가 있을 경우 국가 기반시설인 전력인프라를 보호하고 전력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진흥회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산업은 2035년까지 약 22조달러 규모의 투자가 진행된다. 주요 국가들은 에너지 안보 확대와 경기 부양을 위해 전기산업을 적극 육성하는 추세로, 우리도 K-일렉트릭 산업의 글로벌화 및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해 2030년 '세계 5대 전기산업 강국' 달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게 진흥회의 입장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