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공사, 최근 3년 정전사고 조사결과 발표
준공 20년 이상 아파트에서 사고 비율 가장 높아

[에너지신문] 무더위가 기세를 올리면서 냉방기기 사용량이 급증하자 곳곳에서 크고 작은 정전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 오래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한국전기안전공사가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에버서비스 등 정전사고 긴급복구 지원활동을 펼친 결과에 따르면, 신고 접수 처리된 아파트 정전사고 842건 중 준공된 지 20년 이상 된 아파트에서 일어난 사고가 353건(전체의 42%)로 가장 많았다.

또한 세대수 별로 나눈 통계에서도 500세대 미만 아파트 정전사고 비중이 56%(471건)로 가장 높았다. 준공된 지 오래 된 중소규모 단지 아파트의 경우, 가설 당시 세대 당 전기사용량 기준을 대부분 3kW로 설계해 변압기 과부하 사고 발생률이 그만큼 높다.

▲ 아파트 정전사고 후 임시복구를 진행 중인 모습.
▲ 아파트 정전사고 후 임시복구를 진행 중인 모습.

사고 기기별로는 저압차단기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20%로 가장 많았고, 변압기와 특고압기기가 각각 18%, 13%를 차지했다.

월별, 계절별 사고 통계를 봐도 무더위가 한창인 7월에서 9월 한여름에 일어나는 정전사고가 전체의 47%를 차지했다.

이같은 아파트 정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파트 전기안전관리자가 단지 내 가동 중인 변압기 및 차단기 용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전기사용량이 변압기 적정용량을 넘어설 경우에 대비해 즉시 교체가 가능한 예비제품을 마련해 둬야 한다.

또한 여름철 정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시간대인 오후 6시부터 밤 10시까지는 변압기 상태에 대한 수시점검과 집중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과부하가 우려될 때는 단지 내 입주민에게 냉방기기 사용 자제 등 절전 안내방송으로 신속히 상황을 전한다.

아울러 비상용 발전기는 평소 충분한 사전 점검으로 정전 사고 시 즉각 가동될 수 있도록 관리해둔다.

임종민 안전관리처장은 "15년 이상 오래된 전기설비는 안전전문기관의 정밀진단과 점검을 통해 용량 부족과 정전사고 위험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이상 있는 설비는 제 때 교체해주는 것이 사고를 막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기안전공사는 올여름 전력수급 안정화를 위해 최근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취약시설 전기설비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공공, 민간 비상용발전기 가동 지원은 물론 발전소 등 전력계통 설비에 대한 사용전 정기검사, 준공 25년 이상 노후아파트 1100여곳에 대한 수전실 특별 안전점검을 시행할 계획이다.

공사는 이와 함께 대규모 아파트나 국가 주요시설을 대상으로 정전사고 시 긴급복구를 지원하는 '에버서비스'도 펼쳐오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