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린데 합작 수소액화플랜트 기공식…수소인프라 구축 가속
액화수소 대규모 프로젝트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
박진규 차관, 울산 동북아 에너지허브 현장 방문…직원 격려

[에너지신문] 효성그룹과 린데그룹이 수소액화플랜트 기공식을 갖고 2023년까지 세계 최대규모 액화수소 공장을 건립, 연간 1만 3000톤규모의 액화수소를 생산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는 수소차 10만대에 사용 가능한 물량으로 단일 설비로는 세계 최대규모다. 이를 통해 양사는 액화수소의 생산, 운송 및 충전시설 설치와 운영을 망라하는 ‘수소인프라 구축’을 통해 밸류체인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박진규 차관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청정수소 기반의 수소경제 전환이 필수 불가결하며, 민간의 선제적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도 과감한 규제 개선, 수소 전문기업 집중 육성 등을 통해 국내 수소산업 생태계의 저변 확대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 21일 울산 효성화학 용연공장 부지에서 진행된 “효성-린데 수소 사업 비전 선포 및 액화수소플랜트 기공식” 중 기공식 터치 버튼 세러모니를 하고 있는 모습.
▲ 21일 울산 효성화학 용연공장 부지에서 진행된 “효성-린데 수소 사업 비전 선포 및 액화수소플랜트 기공식” 중 기공식 터치 버튼 세러모니를 하고 있는 모습.

수소액화 신설 공장에서는 효성화학 용연공장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에 린데그룹이 보유한 수소액화 기술 및 설비를 적용해 액화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액화수소는 고압의 기체수소와 달리 대기압에서 저장이 가능해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고며, 기체수소 대비 부피가 약 1/800로 대량 운송에 강점이 있다.

또한 액화수소충전소는 운송, 부지면적‧사용량 등에서 기체수소 대비 경제적인 강점이 커 버스‧트럭‧열차‧선박 등 수소 사용이 많은 대형 모빌리티 활용에 적합하다.

효성-린데社의 수소액화플랜트는 지난 3월 개최된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경제 全 주기에 걸친 총 43조원 규모의 민간투자 계획과 정부의 지원방안을 통해 논의된 바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수소저장‧운송 분야에서 대규모의 수소를 경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화수소 관련 인프라 투자계획이 구체화되는 첫걸음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민간 부문의 액화수소 관련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안에 액화수소플랜트 관련 안전 규정을 조기 마련하고, 규제자유특구를 통한 실증, 수소 상용차 중소‧중견업체에 R&D 지원 등 액화수소 생태계 구축사업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양사는 이날 행사에서 공동의 수소사업 비전 선포식과 울산광역시-효성-린데 간 울산광역시 수소경제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양사는 약 3000억원의 공동 투자로 액화수소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소생산 및 수소에너지 선도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뜻도 밝혔다.

▲ 세계 최대규모 액화수소플랜트가 세워질 효성 울산 용연공장 전경.
▲ 세계 최대규모 액화수소플랜트가 세워질 효성 울산 용연공장 전경.

또한 업계와 동반해 최적의 대용량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추진 중인 액화플랜트의 확대(중장기적으로 연간 3만 9000톤 생산하고, 이와 관련 설비 국산화, 그린수소 생산 확대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이날 울산 북항 동북아 에너지허브사업 건설현장을 찾아 현장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울산 북항 사업은 기존 석유제품 외에 LNG 등을 포함하는 유종 다변화 전략 마련 등을 통해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19.10월)하고 지난해 7월 착공한 사업으로, 현재 8960억원을 투자해 2024년 6월 준공 목표로 건설 중이다.

저장시설 규모는 석유제품 170만B(12기), LNG 270만B(2기)이며, 향후 수요 확보에 따라 단계적으로 저장시설 증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국가 에너지 안보차원에서 국제 석유, 가스 수급위기 등에 대비에 기여하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향후 상업 운영(‘24.7월) 이후에는 울산지역 등 연관산업의 생산·고용 증대 등 경제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울산 북항사업 경제적 파급효과는 약 1조 4000억원의 총생산유발효과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고, 이중 울산 지역이 83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또한 전국 약 9600명(울산 7200명)의 고용효과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