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협회 1분기 실적 분석…수출물량 전년비 27.4%↓
코로나19로 인한 수출물량 감소, 위기를 기회로 활용
수출채산성 회복‧중국·호주·항공유 발판으로 반등 기대

[에너지신문] 지난해 코로나19로 최악의 실적악화를 겪었던 정유업계가, 1분기 수출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국가별 제품수요 변동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등 1분기를 기점으로 석유제품 수출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대한석유협회가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업계 1분기를 분석한 결과,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은 전년동기대비 27.4% 감소한 9094만배럴, 수출금액은 같은 기간 18.9% 감소한 61억 4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1분기 물량 기준으로는 2011년 1분기 이후 10년만의 최저치다.

이는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석유수요가 급감하자 국내 정유업계도 가동율을 조정 대응한데 따른 것으로, 국내 정제가동율은 2020년 1분기 81.6%에서 올해 1분기 72%로 낮아졌다.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고자 정유업계는 제품수출 감소 가운데에서도 국가별 제품 수요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면서 향후 반등을 모색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국가별‧제품수급별 맞춤 전략을 찾아라
1분기 석유제품 수출국 순위는 중국이 36.9%로 가장 높다. 이어 일본(14.4%), 호주(8.8%), 미국(8.6%), 싱가폴(6.9%)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물량은 3360만배럴로 굳건한 1위를 유지한데다 비중도 전년동기 19%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해 여전히 중국에 대한 의존이 높다.

특히 경유는 對중국 수출제품의 69%로 정유업계가 다른 국가보다 코로나19 영향을 가장 먼저 벗어난 중국 수출에 집중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역시 중국과 함께 지리적으로 수출이 가장 용이, 1분기에는 1312만 배럴을 수출했다. 특히 올해 2월 후쿠시마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정제설비 긴급 가동중단에 따라 난방유인 등유 수출이 22% 증가했다.
 
가장 눈여겨 볼 만한 국가는 호주다. 지난해 1분기 5위였던 호주는 항공 수요 부진과 현물시장 재고 과다로 하락세를 나타낸 미국과 싱가폴을 제치고 수출국 3위로 올라섰다.

정유업계는 코로나19로 인해 對호주 항공유 수출이 99%나 급감하자 대신 경유 수출을 두 배 이상 늘리며 위기를 기회로 삼았다.

특히 호주는 지난해 9월 BP가 호주 최대 정제설비 크위나나 정제설비(14.6만b/d)의 폐쇄를 발표한데 이어 올해 2월에는 엑손모빌도 알토나 정제설비(10.9만b/d)를 폐쇄키로 하는 등 석유제품 공급 축소의 영향을 받고 있어 국내 정유사가 발빠르게 對호주 수출을 늘렸다.

이처럼 정유업계는 국가별 대응과 함께 제품별로도 수급상황 변동에 맞춰 대응하고 있다. 미국교통안전청(TSA)에 따르면 미국 공항 이용객은 지난해 4월 325만명을 저점으로 올 1월 2360만명, 2월 2445만명, 3월 3805만명 등 최근 미국 내 코로나 백신접종이 빠르게 이뤄지면서 항공여행 수요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미국 시장의 항공수요 회복에 맞춰 정유업계는 전체 수출물량 중 미국 비중을 1월에 43%, 2월 48%, 3월 83%로 수출량을 크게 늘리고 있다. 

정유업계, 체질 변화가 시작됐다
1분기를 분석해보면, 정유업계의 수출채산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에는 원유도입단가가 배럴당 62.3달러로 제품수출단가 60.5달러보다 오히려 더 높아 경영실적 악화의 원인이 됐지만, 올해에는 제품수출단가가 67.6달러로 원유도입단가 58.1달러보다 배럴당 9.4달러 더 높아졌다.

즉, 석유수요 급감과 저장용량 한계로 이른바 ‘밀어내기’ 수출을 했던 지난해에 비해 수출체질이 개선된 것이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내 정유사는 세계 5위 수준의 정제능력을 갖추고 있어 규모 경제 실현이 가능하다”며 “석유제품 수요와 정제마진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엔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정유업계는 수출국 다변화와 국가별 수급상황에 맞춘 전략으로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경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