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경연 EMP 19기, '기후변화와 에너지산업의 미래' 발간
수준높은 지식과 통찰력으로 미래 에너지산업 분석·전망

[에너지신문] 업계 리더 9인이 뭉쳐 기후변화 및 에너지산업이 변화하는 과정을 진단하고, 향후 풀어나가야 할 과제와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 서적을 발간해 주목받고 있다.

▲ 지난 15일 발간된 '기후변화와 에너지산업의 미래'.
▲ 지난 15일 발간된 '기후변화와 에너지산업의 미래'.

지난 15일 발간된 '기후변화와 에너지산업의 미래'는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운영하는 '에너지고위경영자과정(EMP)' 19기 수료생을 주축으로 한 9인의 공동저자들이 각기 다른 에너지산업 분야별 이슈에 대한 견해를 담았다.

이들은 모두 에너지 관련 업계의 대표 및 임원들로, 이번 저서를 통해 수준높은 지식과 통찰력으로 기후변화와 미래의 에너지산업을 진단했다는 평가다.

9인의 공동저자를 대표해 서문을 쓴 강신홍 서울에너지공사 기획경영본부장은 "EMP 19기 동료들과 누구나 쉽게 에너지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내용의 책을 써볼까라는 마음으로 출발했다"며 "하지만 보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다 보니 내용에 깊이가 들어가게 됐고, 결국 400페이지가 넘는 책으로 완성됐다"고 발간 배경을 설명했다.

본지는 이 가운데 강신홍 본부장을 비롯한 4인의 저자들을 만나 에너지산업과 관련한 생각과 비전을 들을 수 있었다. 이들이 언급한 내용을 요약, 정리했다.

강신홍 서울에너지공사 기획경영본부장

'한국판 그린뉴딜'과 '2050 탄소중립'은 기후위기에 대응해 그린뉴딜을 완성하고, 장기적으로는 탄소중립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는 정책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전력·에너지시스템을 분산형 에너지 환경으로 반드시 바꿔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두 정책 모두 분산에너지로의 변화를 위한 청사진이 부족한 부분은 아쉽다.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그린 뉴딜과 탄소중립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실제 정책의 밑그림을 그리는 세부 계획이 필요하다. 아울러 주요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재원 마련, 에너지 분권 확립을 위한 지방정부의 참여 활성화, 디지털-그린 뉴딜의 융복합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 

이와 함께 에너지 신사업 진출과 신규 일자리 확충, 해외 진출을 위한 지원정책과 같은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의 후속 지원정책을 완성해야 할 것이다.

원주연 대성물류건설 대표이사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은 고효율 자재가 필요함은 물론 건축사, 기술사 등 엔지니어와 부동산 개발업자의 협업이 필요한 사업이다.

시장의 본격적인 성장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관련기술 표준 수립도 필요하다. 건물 부문 에너지소비 감축 성과가 실질적 지표로 드러나기 위해서는 시스템간 상호 호환이 필수다.

환경오염은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닌, 인위적인 원인에 자연적 요인이 합쳐져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환경 파괴는 발생 그 자체를 제어할 수 없는 자연 재해와는 다르며, 사회적 요인을 제어하면 원리적으로는 발생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으려고 화석연료의 사용을 완전히 중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배출 규제와 종래의 건축 패시브 시스템, 액티브 시스템을 포함한 제로에너지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 17일 서울에너지공사 회의실에서 만난 4인의 저자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최승신 C2S 컨설팅 대표, 원주연 대성물류건설 대표, 강신홍 서울에너지공사 기획경영본부장, 이정희 중경이피아이 대표.
▲ 17일 서울에너지공사 회의실에서 만난 4인의 저자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최승신 C2S 컨설팅 대표, 원주연 대성물류건설 대표, 강신홍 서울에너지공사 기획경영본부장, 이정희 중경이피아이 대표.

이정희 (주)중경이피아이 대표이사

전세계적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성장을 위해 저탄소에너지를 기반으로 에너지전환이 진행 중이다. 특히 산업화가 가장 먼저 진행된 유럽이 탄소중립 실현에 가장 적극적이다.

현재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거대한 에너지전환 패러다임 아래서 글로벌 에너지산업의 지형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유럽 내에서 석탄발전의 종료는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유럽은 전력통합망 운영을 통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보다 재생에너지 수용 환경에서 한발 앞서 있다.

에너지는 현대 산업국가의 혈액이다.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산업 하에서 우리는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나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 패러다임에서는 자립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에너지자립률 재고와 함께 수소 및 전기차 등 신재생 관련 기술의 자립률도 동시에 상승하기를 기대한다. 

최승신 C2S 컨설팅 대표 컨설턴트

전력산업 구조개편 중단 이후 전력시장 왜곡을 걱정하는 전문가들은 지속적으로 시장 정상화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다. 그러나 전기요금 상승은 표를 먹고사는 정치인들에게 쉽지 않은 의사결정이 돼버렸다.

지속 가능하지 않은 시장의 연결고리는 어느 순간 끊어질 것이고, 연쇄 악순환이 벌어지는 순간 시장은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시장은 건전하지 못하고, 기업은 허약하며, 소비자는 원가 이하의 전기요금에 익숙해지고 있다.

정부가 누적된 문제를 직시하지 못한다면 생각보다 더 빨리 시장의 혼란을 보게 될 것이다. 누군가가 총대를 매고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전력산업은 새로운 시대에 맞설 능력을 키워야 하는 과제에 맞닥뜨리게 됐다. 단순한 사업부문의 전환을 넘어,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반을 고도화하면서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야 한다. 변화는 너무 빠르거나 늦어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