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그룹사 경영효율화 추진 노력 결실" 평가
[에너지신문] 한전이 지난해 영업이익 4조원을 돌파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연료가격 하락 폭이 커진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19일 한전은 2020년 연결기준 매출액 58조 6000억원, 영업이익 4조 1000억원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한전에 따르면 유가 등 연료가격의 지속 하락으로 발전자회사 연료비 및 민간발전사 전력구입비가 약 6조원 감소했다. 자회사 연료비는 전년대비 3조 5000억원 감소했으며 전력구입비의 경우 민간발전사로부터의 구입량이 2.0% 증가했음에도 전년대비 2조 5000억원 감소했다.

반면 코로나19, 장마기간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전기판매수익은 2000억원 감소했으며, 해외건설부문 공정이 거의 완료됨에 따라 기타수익 4000억원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조 4000억원 증가한 4조 1000억원을 기록했다.
한전 관계자는 "영업실적은 원전 및 석탄 이용률보다는 유가 등 국제 연료가격 변동에 더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나, 올해부터 원가연계형 요금제 시행으로 연료비 변동분은 주기적으로 전기요금에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전력그룹사 공동 경영효율화 추진 성과
한전 및 전력그룹사는 국제 연료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는 연료비, 전력구입비와 별도로 영업비용의 약 37%에 해당하는 전력공급비용에 대한 절감 노력을 추진, 약 4700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거뒀다. 전력 공급비용은 설비관리비, 감가상각비, 인건비, 판매관리비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연간 약 20조 규모(2020년 잠정 기준)다.
구체적인 비용절감 노력을 살펴보면 △신기술 활용 설비관리 효율화 및 내부인력을 활용한 위탁업무 최소화 △내용연수를 고려한 품셈 차등 적용 등 설비수선비 절감 △공사부대비 관리기준 개선 등 전사적 엄격한 비용 집행 기준 수립 등이 있다.
최근 5년간(2015~2020) 전력공급비용 증가율은 5.9%로 동 비율 적용시 2020년 약 1조 1500억원의 비용 증가가 예상됐으나, 지난해 전력공급 비용 증가율을 3.5% 이내로 유지, 전년대비 약 6800억원 증가 이내로 억제했다.
또 전력공급비용 절감과 함께 저금리 신규차입원 발굴, 차입금 관리 강화 등을 통해 이자비용을 전년대비 514억원 절감(2.5%↓)했다.
■ 올해도 고강도 경영효율화 지속 추진
한전과 전력그룹사는 전기요금 체계개편과 함께 경영효율화를 통해 전력공급 비용을 절감, 전기요금 인상요인을 최소화하고 이익개선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한전 및 전력그룹사의 판매량 1kWh당 전력공급비용(단위당 비용) 증가율을 2024년까지 연간 3% 이내로 관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연초부터 한전 자체 '전력공급비용 TF'를 구성, 재무이슈 중점 점검 및 대응 등 전력공급비용 집행 효율성 제고와 수익 개선을 지속 추진해 오고 있다.
한전은 이를 발전자회사로도 확대, 발전부문 전력공급비용 관리를 위한 전력그룹사 협의체 구성 및 효율화 목표 공유를 통해 주기적으로 실적을 점검하고,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경영혁신위원회'를 통해 한전 및 전력그룹사 전체의 전력공급비용 절감노력을 공동 모니터링하는 등 집행실적 점검을 체계화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신재생 확대, 탄소중립 이행 등을 위해 망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저탄소·친환경 중심 해외사업 개발, 신재생 투자확대를 위한 자금조달 등 ESG 경영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