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배관망 노후 현황 분석…20년 이상 배관망 2만 1356km 달해
지하 배관망 안전사고 위험 노출, 안전관리 R&D 투자 여전히 답보
송갑석 의원 “안전관리 투자 확대로 배관망 안전 사각지대 해소해야”

[에너지신문] 가스배관, 열수송관, 송유관 등 전국 지하 에너지 배관망 노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안전관리 기술개발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 도시가스사의 사업력이 30년을 넘어서면서 도시가스 배관 노후화도 심화되고 있다.
▲ 도시가스사의 사업력이 30년을 넘어서면서 도시가스 배관 노후화도 심화되고 있다.

국회 산업자원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송갑석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서구갑)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으로부터 제출받은 ‘에너지 수송용 지하 배관망 노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 12월 기준 전국 에너지 수송용 지하 배관망 총 6만 388km 중 20년 이상 노후된 배관망이 2만 1356km으로, 35.3%에 달했다.

도시가스 배관망은 전체의 35.3%인 1만 7819km, 열수송관은 전체의 25.9%인 2216km가 노후 배관으로 분류됐다. 특히 송유관은 전체 길이 1344km 중 무려 98,3%인 1321km가 노후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 에너지 배관의 공급 압력은 최대 8MPa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한다. 실제 2018년 12월 고양시에서는 열수송관 파열‧폭발 사고로 사망자 1명과 4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2016년 4월 부산에서는 도시가스 배관 파손으로 7000여가구에 가스공급이 끊기는 등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지하 배관망의 안전사고 위험이 줄지 않고 있는데도 안전관리 R&D 투자는 여전히 답보 상태다.

에기평에서 추진하는 ‘에너지안전기술개발’ 사업 내 360억원 규모의 가스안전 분야 지원사업이 진행하고 있지만, 지하 배관 안전검사 및 진단 관련 기술개발 예산은 단 18억원으로 1개 과제에 투입되는 데 그쳤다. 그마저도 가스배관만을 대상으로 ‘점검관리 기준’을 개발하는 과제로, 열수송관 및 송유관 관련 안전관리 기술개발 사업은 전무한 상태라 할 수 있다.

기존 배관망 안전점검은 도시가스 배관의 경우 연 1회, 송유관은 2년에 1회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있고, 열수송관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연 1회 정기점검을 실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정기점검의 특성상 수시로 발생가능한 결함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데 있다. 또한 점검방식도 배관 외부만을 확인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배관 내부의 상황을 살필 수 없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이에 송갑석 의원은 실시간 점검과 로봇 기술을 활용한 배관 내부 점검 등 배관 안전관리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송갑석 의원은 “지하 매설 에너지 배관망의 안전관리 고도화는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과 ‘1차 기반시설관리 기본계획(2020~25)’으로 이미 법적 근거가 마련돼 있지만, 지금까지 관련 R&D가 전혀 추진되지 않았다”며 “로봇 등 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유지관리 R&D 등 안전관리 투자 확대를 통해 지하 에너지 배관망 안전점검의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