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글로벌 수소상용차 시장 선점이 중요한 이유
[기자수첩] 글로벌 수소상용차 시장 선점이 중요한 이유
  • 신석주 기자
  • 승인 2020.09.25 1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신석주 기자
▲ 신석주 기자

[에너지신문] 지난 7월, 현대자동차는 세계 첫 양산형 대형수소트럭인 ‘수소 엑시언트’ 10대를 스위스에 보냈다. 유럽 상용차시장에 진출한 첫 사례로 주목받으며 ‘수소상용차의 생태계’를 창조하는 ‘선구자’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전 세계가 미세먼지, 대기오염 등으로 환경에 민감해지면서 완성차업체들은 저마다 친환경차 모델 개발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입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수소 연료전지를 활용한 수소상용차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여러 국가에서 수소전기 트럭·버스 등 수소전기상용차에 주목하는 이유는 충전 인프라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장거리 화물·승객 운송 등을 담당하는 수소상용차는 기존 내연기관과 비교할 때 배출가스가 전혀 없고 전기차에 비해 장거리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구간을 충전소 등의 제한을 크게 받지 않고 왕복할 수 있다.

한국자동차공학회에서도 수소전기차의 향후 전망에 대해 덩치가 큰 중대형 상용차부터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수소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트럭과 버스 등 고출력이 필요한 중대형 상용차종에 적합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다만 아직까지 수소트럭 양산에 성공한 기업이 없어 실현가능성에 물음표가 따라다녔다.

하지만 올해 현대차가 수소버스는 물론 수소트럭까지 양산하며 글로벌 상용차업체 중 최초로 수소상용차 시대의 문을 열었다. 글로벌 상용차 시장에서 현대차의 전망은 밝다.

수소연료전지 스택 기술과 효율성은 그 어떤 경쟁국가도 따라잡지 못할 만큼 독보적인데다 상용차 선진국인 유럽에 판로를 개척하며 ‘수소상용차=현대차’라는 이미지를 심었기 때문이다.

향후 현대차가 뛰어난 엔진 성능, 라인업 확대 등을 통해 수소상용차 시장을 선점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한다면 글로벌 상용차시장에서 현대차의 위상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 기대한다.

신석주 기자
신석주 기자 다른기사 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