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기술력, 에너지산업 미래 이끈다-(주)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에너지신문] (주)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대표이사 오재철)는 전력 수요자원 거래시장이 열린 이후 국내 사업자를 대상으로 안정적인 수요관리 솔루션(LAMS)을 제공해오고 있다.

특히 국내 최초로 일본 및 태국 전력기관을 대상으로 수요관리 솔루션 납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초기부터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했다. 주요 시장인 일본과 떠오르는 신흥 시장인 태국에 이어 최근에는 말레이시아 시장 진출을 추진, 국내를 넘어 아시아 지역에서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는 평가다.

수요관리라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콘셉트 위에 다년 간 쌓아온 국내외 실제 사업 경험을 토대로 개발 중인 VPP(Virtual Power Plant, 가상발전소) 사업모델(DR, FR, Peak-Cut, etc) 기반의 VPP 플랫폼 서비스화도 준비 중에 있다.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는 글로벌 사업화 노력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지난해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말레이시아 전력 시장 타깃 VPP R&D 프로젝트’가 혁신성장 쇼케이스로 선정되며 한-아세안 국가 정상들에게 소개되기도 했다.

최근 추진 중인 AI 기반 ESS 배터리 이상 감지 및 분산자원 운영 최적화 기술개발을 위해 국내외 에너지 분야 전문가 및 관련 기관들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추진하고 있는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는 최고 수준의 AI 기술 개발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과 독점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기술 사업화를 준비 중이다.

‘글로벌 VPP 솔루션기업’ 목표 위해 달린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출신인 오재철 대표는 1990년대 다수의 소프트웨어 서적을 집필했으며 EBS 등 다양한 미디어 및 방송에서 관련 교육을 진행하기도 했다.

지난 1998년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설립 이후 그는 회사를 비정형 데이터관리(Unstructured data management) 기술 개발 역량 기반의 기업으로 성장시켜오고 있다.

오 대표는 DR(수요자원)의 데이터관리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장의 흐름에 주목했다. 전력이라는 비정형화 데이터를 정형화해 기술 및 기능개발에 필요한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게 된 것이 수요자원 시장 참여의 시초다.

오 대표는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태국 등 전세계 8개국이 회사의 고객”이라며 “일본시장의 경우 더욱 선진화된 시장 계획 및 구조 기반의 LAMS 커스터마이징을 기반으로 꾸준히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예상 밖으로 해외사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게 오 대표의 설명이다. 그는 “글로벌 시장에 150만달러 규모의 솔루션 라이센스를 수출하며 APEC 유틸리티 아울렛이 선정한 ‘가장 눈에 띄는 SW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고 밝혔다.

오재철 대표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오히려 공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어려운 상황일수록 성장의 기회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글로벌 VPP 솔루션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미 독보적인 회사로 평가받고 있다. 비록 코로나19로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는 어려움이 있으나 VPP는 현 에너지분야의 트렌드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기회를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오재철 대표가 현 에너지 시장의 흐름을 설명하고 있다.
▲ 오재철 대표가 현 에너지 시장의 흐름을 설명하고 있다.

전력시장, 공공-민간 경쟁 필요…선택권 있어야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는 여러 해외 시장 중에서도 일본과 태국에 주력하고 있다.

오 대표에 따르면 일본은 ‘조정력 공모’ 대응을 시작으로 분산자원관리를 통한 솔루션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아이온은 국내 수요자원거래시장 운영 솔루션인 LAMS를 기반으로 조정력 공모 대응을 위한 현지 맞춤형 LAMS 진출전략 수립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VPP시장에 VPP 플랫폼 진출을 위한 추가 전략도 수립 중이다.

태국의 경우 AMI 인프라 확산 및 국가 차원에서의 DR 시장 신규 개설 움직임에 따라 전력시장 구조가 유사한 한국을 벤치마킹으로 시장 구축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시장에서 검증된 LAMS를 기반으로 구축중인 태국 DR 시장을 위한 커스터마이징을 진행 중에 있다.

이어 그는 전력시장에서 소비자 선택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금의 전력요금제도는 한전이 사용량에 따라 일방적으로 부과하는 방식이다. 인터넷 또는 휴대전화 요금과 같이 소비자가 다양한 요금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소비자가 원할 경우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선택해 공급받고, 그에 합당한 요금을 지불하는 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의 경쟁이 필요하다는 게 오 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공기업은 그들의 역할이 있기 때문에 한전의 민영화와 같은 방식 보다는 일본의 전력자유화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기존의 전력시장은 소비자가 선택권이 없었으나, 현재는 점차 선택권이 있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복잡한 의사결정 및 이해관계가 묶여 있지만 시장이 열리게 되면 더욱 다양한 기회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린뉴딜 목표·방향 맞지만 시장흐름에 맡길 것

오 대표는 정부의 에너지정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솔직히 털어놨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그린뉴딜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그는 “고용과 투자, 성장까지 잡는다는 목표와 방향은 100% 맞다고 본다. 이는 반드시 실행에 옮겨야 한다”면서도 “정부 주도의 공급정책으로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산업 역시 일반적인 경제논리처럼 공급과 수요의 법칙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지나친 시장개입은 원활한 시장의 흐름을 오히려 방해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가장 성공한 정부 정책으로 김대중 정부 시절 초고속 인터넷 보급사업을 꼽았다. 정부가 방향을 제시하고, 적절한 지원을 통해 수요를 열어줘 인프라가 크게 성장했다는 것이다.

“지금의 에너지정책을 보면 정부가 시장에 너무 많이 개입하려 한다는 느낌이다. 시장의 흐름대로 맡겨놔야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정부의 역할은 판을 깔아주는 것이다. 초고속 통신망의 경우 정부가 수요를 개척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