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세계 경제가 전대미문의 불안에 휩싸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사람과 자원의 이동을 막아 각국 경제가 기능을 멈추고 있다. 미국의 경우 대공황 첫해인 1930년 -8.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은 올해 미국경제가 -5.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악화할 경우 세계경제는 1930년대 대공황 이상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

미국연방준비제도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0∼0.25%로 낮추고 무제한 양적완화에 나섰다. 기업대출은 물론 투기등급의 정크본드까지 사들이는 강수를 두고 있다. 이와 별도로 미국정부는 일정소득 이하 계층에 월 1200달러의 현금을 지급하는 등 총 2조 2000억달러 규모의 재정정책을 펴고 있다.

미국은 사실상 시장경제의 정상적인 질서유지가 어렵다고 보고 정부와 연방준비제도가 직접 유동성을 투입하는 특단의 정책을 펴고 있다. 이와 같은 초 시장적인 정책은 코로나19 사태를 겪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펴고 있다.

대외의존도가 절대적인 우리경제는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75%로 낮추고 환매조건부 채권을 무제한적으로 사들이는 통화정책을 펴고 있다. 특히 한국은행은 사상 처음으로 증권사와 보험사 등 제2금융권을 상대로 직접대출을 시행 중이다. 정부도 추경을 편성해 가구당 최대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등 재난 극복에 안간힘을 기울이고 있다.

뉴딜정책은 1930년대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이 편 정책으로 사회간접자본을 건설하고 산업생산능력을 제고해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드는 정부주도 정책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우리경제는 주력산업이 경쟁력을 잃고 잠재성장률이 떨어지는 구조적 불안을 겪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코로나19 사태가 겹쳤다.

문제는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경기를 조절하는 시장기능이 멈춘 것이다. 아무리 금리를 내려도 투자와 소비가 증가하지 않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이런 경제를 정부가 개입해 살리는 것은 의무다. 미국이 정책개입을 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코로나 사태가 지속할 경우 우리경제는 언제 추락할지 모르는 위험을 안고 있다. ‘한국판 뉴딜정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국제통화기금의 전망에 따르면 올해 우리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1.2%로 OECD국가 중 제일 양호하다. 중국과 인도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1.2%와 +1.9%로 미국과 유럽 등에 비해 월등히 높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세계경제의 중심이 점차 아시아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형 뉴딜정책을 서둘러 아시아에서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국가로 부상할 경우 우리나라는 위기를 기회로 바꿔 경제강국으로 도약하는 전화위복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국경제가 뉴딜정책을 통해 제2의 도약을 하려면 근본적인 산업생태계의 변화가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을 앞당겨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다. 

정부는 그동안 추진해온 혁신성장을 한국판 뉴딜정책의 주요내용으로 포함해 과감하게 추진해야 한다. 5G, 미래차 등 주요 선도산업을 빠른 속도로 발전시키고 기존의 제조업 서비스업과 융합해 산업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서둘러야 한다.

물을 붓기 전에 깨진 독을 고쳐야 한다는 차원에서 부실산업에 대한 구조개혁도 불가피하다. 규제를 개혁하고 경제력 집중을 해소하며 기업환경을 개선해 벤처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자유롭게 일어나 미래산업을 이끌며 고용을 창출하게 해야 한다.

다행히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40% 수준에 머물러 뉴딜정책에 필요한 재정지출의 여력이 다른 나라보다 큰 편이다. 재정은 안 쓰는 것보다 잘 쓰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한국경제를 올바르게 살리는 뉴딜정책을 마련해 신속하게 펴야 한다.

<본 컬럼은 4월 29일자 정책브리핑 홈페이지에 실린 내용과 같습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