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시장에서 이동형‧패키지형 충전소로 경제성 확보
미래 수소경제시대 대비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해야

[에너지신문] “수소충전소 보급 활성화를 위해서는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이제 수소경제다 시리즈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박진남 경일대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거창한 수소충전소 건설 계획보다는 기반 시설을 충실히 확보한다는 목표에 집중하는 것이 수소경제 산업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이라고 강조했다. 

▲ 안국영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위원이 '이제 수소경제다' 2차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
▲ 안국영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위원이 '이제 수소경제다' 2차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

20일,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이제 수소경제다 시리즈 토론회' 두 번째 시간이 국회의원회관 2간담회의실에서 열렸다. 이 토론회는 지난 3월 6일 1차 토론회를 시작으로 4월 10일까지 총 5차례에 걸쳐 진행되는 정책 토론회로 수소경제 활성화 필요성 및 로드맵 성공을 위한 방안에 대해 기업·학계·정부 관계자와 함께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 문재인 정부는 수소 경제 활성화에 팔을 걷어붙였다. 정부는 수소경제를 데이터, 인공지능과 함께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에 나섰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 1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규제샌드박스 1호로 도심 내 수소충전소 설치를 허용했다. 또한 총리실 산하 규제개혁위원회에 올라온 수소경제 관련 규제 개선안 15개 중 13개 규제를 개선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국회에서도 수소경제 관련법 6개가 발의됐다. 수소 전문기업 지원을 비롯해 수소 특화단지 지정, 수소 판매가격 공개 등이다. 정부는 수소경제가 온실가스 감축, 미세먼지 저감,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등 친환경 에너지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두 번째 토론회는 ‘수소충전소 조기 확충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 방안’과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방안’을 주제로 삼았다. 

첫 번째 발제는 ‘수소충전소 설치 및 안전관리’라는 주제로 박진남 경일대 교수가 나섰다. 그는 먼저 “현재 국내 충전소가 민간업체에서 운영 중인 11개뿐이지만 올해 21개소가 건설 중”이라며 국내 충전소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박 교수는 “수소충전소 보급 활성화의 첫걸음은 충전소를 건설하는 데 드는 재정적인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다”라고 강조하며 해결책으로 이동형‧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제시했다.

그는 “수소경제는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를 통한 수소인프라 구축을 전제로 해야 한다. 특히 초기 시장에는 합리적이고 효율성에 맞춰 충전소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초기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형‧패키지형 수소충전소는 비용 대비 투자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보급 목표를 높게 설정하고 설치 기간을 단축하면 해외 의존도가 높아져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조언하며 “수소 기반을 확충한다는 목표로 안정적인 설치 기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토론회에 참석한 발제자와 패널들이 수소경제활성화를 위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 토론회에 참석한 발제자와 패널들이 수소경제활성화를 위해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준처장은 ‘수소자동차 충전소 설치 및 체계적 안전관리제도·보완’을 주제로 발표했다. 허 처장은 “수소사용의 안전과 수소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안전설비 인증제도 도입을 포함 안전관리 기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6건의 고압가스 안전관리 법령과 4건의 고법 시행령, 규칙 등에 대해 재개정 절차가 진행 중이며 지난 2월 입법예고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연료보급과 부품 수급을 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아직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확보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허 처장은 주장했다. 그는 “현행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에서 수소 이용‧보급 시책 수립 및 저압(1MPs 미만) 안전관리를 규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다가오는 미래 수소경제시대에 대비하여 수소산업의 체계적인 지원과 안전관리 사각지대의 해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수소산업 부품관련 인증기준 국제부합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소산업부품은 고압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의 불량은 대형사고로 연결된다. 그만큼 설치에 사용되는 초고압 부품에 대한 인증제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장과 이송에 큰 장점이 있는 액화수소 자동차충전소 설치기준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고, 안정적인 충전을 통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차량의 충전 속도와 주행거리 등을 위한 ‘충전 프로토콜 표준이 도입’돼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합동 토론에는 안국영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위원이 좌장으로, 권낙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대외협력실장은 토론회 사회자로 참석했고, 유종수 하이넷 대표를 비롯해 박윤민 환경부 대기환경과장, 이용욱 국토교통부 도로정책과장, 이희원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부 에너지안전과장 등이 이날 발제된 내용을 포함해 ‘수소충전소 설치와 안전관리 방안’ 등 로드맵 후속조치 방안에 대해 열띤 대화를 나눴다. 

권칠승 의원은 “수소경제의 핵심인 수소차 보급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소충전소 조기 확충과 안전관리 방안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국민들께서 손쉽고 안전하게 수소차와 수소충전소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로드맵 후속조치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