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 변경해 명칭 및 사업내용에 ‘수소차’ 포함
LNG화물차는 국내차 및 해외차 2트랙으로 추진

수소차량협회(Korea Association for Natural Gas & Fuel Cell Electric Vehicles, KANFV)’로 명칭을 변경키로 했다.

[에너지신문]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가 정부의 수소차 보급정책과 회원사 지원업무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천연가스ㆍ수소차량협회(Korea Association for Natural Gas & Fuel Cell Electric Vehicles, KANFV)’로 명칭을 변경하고 사업내용을 수소차량까지 확대했다.

특히 LNG화물차사업의 추진을 위해 국내 제작사의 트랙터 개발 및 시범운행과 이태리 IVECO사의 차량을 수입해 국내 인증을 추진하는 2개 트랙으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회장 김병식)는 13일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2018년도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 제2회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상정, 의결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기존 정관에 있는 명칭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KANGV)’를 ‘천연가스ㆍ수소차량협회(KANFV)’로 변경하고, 협회 목적과 사업내용을 수소차량까지 포함토록 변경했다.

이에 따라 협회는 향으로 천연가스 및 수소전기차량관련 연구 및 실태조사, 연구용역, 천연가스 및 수소관련 인프라 확대방안과 공급체계 활성화, 천연가스 및 수소전기자동차 관련 부품 연구개발 및 국내외 보급 등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앞서 협회는 환경부로부터 이견이 없다는 답변을 받으면서 천연가스에서 수소차로 전환보급을 위한 협회의 역할이 필요하며, 자동차환경협회와의 중복성을 사전에 검토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사업 중복성 검토결과 문제가 없다는 게 협회측 설명이다. 산업부로부터도 부처간 업무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협회 명칭 변경 및 관련 수소업무 추진에 이견이 없다는 의견을 받았다.

이날 협회는 협회 명칭과 목적, 사업내용을 변경했지만 사업내용과 관련해서는 보다 더 깊은 연구 검토를 거쳐 차기 총회에서 사업내용을 보완해 개정키로 했다. 또한 공식적인 협회 명칭 변경은 조만간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최종승인을 득할 예정이다.

2트랙으로 추진되는 LNG화물차 사업

이날 총회에서 관심을 모은 것은 LNG화물차 사업 추진현황 보고다. 협회는 LNG화물차 사업 추진현황 보고를 통해 2개의 트랙(Track)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첫 번재 트랙은 환경부, 한국가스공사, 타타대우상용차, 협회, 물류사가 참여하고 있는 국내 LNG차량 개발 및 시범운행사업이다.

사업범위는 △6×2 트랙터 개발 및 국내 법규 인증 △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물류사 시범운행 △환경부 ‘LNG화물차 타당성 평가’ 추진 등이다.

현재 차량을 개발해 지난 6월 27일 국토부로부터 자기 인증 승인을 완료했고 한국환경공단에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 생략을 신청한 상태다. 또 교통안전공단에 LNG안전 및 기술검사를 신청후 차량 검사일정을 조율중이며, 7월중 환경부가 타당성 평가 용역을 발주한다.

두 번째 트랙으로는 이태리 IVECO사의 차량을 수입해 국내 인증을 추진한다. CNH Korea Industrial(IVECO), NGVI, 협회, 우드워드, 한국LCNG충전 등이 참여해 해외 LNG차량의 국내 인증과 시범운행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사업범위는 460ps 트랙터 및 카고트럭 국내 인증과 물류사 시범 보급사업이다.

이를 위해 시범 보급사업을 위한 TFT를 구성하고 용기 및 고압밸브 등 국내 공장등록 등의 절차를 추진하며, 국토부 등에 물류지원 연구사업도 제안할 계획이다.

현재 환경부는 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8개월간 ‘LNG화물차 보급 타당성 평가’ 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며, 이 연구결과에 따라 천연가스 화물차의 단계별 보급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국책연구기관을 통해 천연가스 화물차의 환경성과 경제성을 분석해 정부의 구매보조 지원 근거를 마련할 방침이다.

내년 3월까지 8500만원을 들여 ‘천연가스자동차 충전인프라 확대 로드맵 수립’ 연구도 추진된다. CNG, LNG, LCNG, 수소 융복합 충전소 등 다양한 유형을 검토해 효율적인 충전소 구축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연구결과에 따라 지역별 충전소 네트워크 구축안과 충전소 확대를 위한 정부 정책 지원사항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