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및 주요 전력사, 관련연구 진행 중

[에너지신문]소프트웨어를 통해 태양광 발전 설비와 가정 및 사업장의 배터리를 연결하고, 전력 수급을 한 곳에서 제어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 VPP)라고 불리는 이러한 신기술이 재생에너지 보급을 이끌고 전력 단가를 낮출 것으로 기대되면서 일본 에너지 시장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아사히 신문 영문판이 지난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최근 분산전원 및 발전소를 운영하는 일본 발전 사업자들은 가상 발전소 시스템을 상업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

오사카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간사이 전력은 시가현 모리야마에 있는 축전지 시스템을 효고현 아마가사키에 있는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했다.  

공장 내 배터리에서 전기를 방출한 후 케이블과 함께 재충전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난 1월부터 실험하기 위해서이다.  

산샤(Sansha) 전력, GS 유아사(GS Yuasa), 스미토모(Sumitomo) 전력 등 이번 실험을 진행하는 13개 업체들은 총 9메가와트를 생산할 수 있는 전원을 연결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이번 연구를 통해 2020년까지 50메가와트에 이르는 저장 설비를 구성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러한 노력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2030년에 이르러 일본 내에는 13.2 기가와트 용량의 가상 발전소가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력량은 13개 화력발전소가 생산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도쿄 전력(TEPCO)은 세키수이 화학(Sekisui Chemical), NEC 등 다른 업체들과도 가상발전소 기술을 상업화하기 위한 협력 관계를 맺어나가고 있다.

일본 정부와 주요 발전사들의 이러한 노력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재생에너지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일본 에너지 시장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지난해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전력 요금제를 통해 생산된 태양에너지 전력량은 5년 전과 비교할 때 13배 가량 증가한 바 있다.  

하지만 주요 발전 사업자들이 태양열 발전소를 통해 생산한 전력을 모두 수용하지 못해 전력 생산을 멈추는 모습을 종종 보일 때가 있는 만큼, 가상 발전소 시스템은 수급 조절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재생에너지 보급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가상 발전소 기술은 사업자들이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전력 생산량을 비싼 설비 없이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간사이 전력의 한 임원은 "가상 발전소 시스템이 오래된 지열 발전소를 유지하는 비용을 낮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발전 시스템 비용이 낮아지면 전기 요금도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