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이 이끌어갈 새로운 정부가 정식 출범했다.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된 만큼 각계각층이 문재인 정부에 기대하는 바도 그만큼 클 것이다.

에너지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업계는 한층 고무된 분위기다. 이미 당선 전부터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을 강조한 문 대통령이기에 그 기대감은 더욱 크다.

그러나 햇빛이 있으면 그늘도 있는 법. 정권이 바뀐다고 해서 모두가 그 열매를 가져갈 수는 없다. 신재생이 햇빛을 기대하고 있다면, 원자력은 그늘이 드리워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대선 전 후보자 공약을 통해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과 월성 1호기 폐쇄 등 이전 정부의 원전중심 발전정책을 폐기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결국 국내에서의 원자력발전 확대는 사실상 불가능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의 공략대로라면 신규 원전 건설은 물론이거니와, 현재 정상가동 중인 원전들도 수명이 다하면 하나둘 폐쇄의 길을 걷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은 자의든 타의든 해외진출에 사활을 걸 수 밖에 없게 됐다.

해외에서는 높은 기술력을 앞세운 우리나라 원전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한다. 후쿠시마 사태 이후에도 체코, 영국 등이 신규원전 건설을 서두르는 등 해외에서는 여전히 원전 수요가 꾸준하다.

이는 원전 사업자인 한수원에 있어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의 사업 확장이 힘들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해외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강력한 동기부여가 된다는 얘기다.

한수원은 이미 신규원전 건설을 검토하고 있는 여러 국가들과 다각도로 접촉하고 있다. 이관섭 한수원 사장도 현지에서 직접 로비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한전기술, 두산중공업 등 관련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정부도 여기에 보조를 맞춰야 할 것이다. 문 대통령의 공약대로 국내에서의 신규건설은 허가하지 않더라도 막대한 국익을 가져다 줄 해외 수출은 적극 지원해야 한다.

원자력 업계가 해외진출에 주력하고, 정부가 외교적·제도적으로 이를 뒷받침 해주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가 아닐까 싶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