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지난해 3월 이후 상승세로 돌아 선 생산자물가지수가 최근 들어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AI와 구제역 파동으로 계란, 닭고기, 소고기 등의 가격이 수직 상승한데 이어 이달 들어서는 도시가스, LPG, 열 요금 등 에너지 요금 또한 일제히 인상했다.

미국의 경우도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지난 1월 52개월 만에 최대 폭의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독일 등 유럽국가에서도 예외는 아닌 상황이다.

중국의 경우 지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6.9% 상승하면서 5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최근의 생산자물가지수의 상승은 전력 및 가스, 수도 등 공공재요금 증가에 원인이 있다기보다는 농림수산품 부문의 폭등과 서비스 분야의 꾸준한 상승세에 그 원인이 있다.

그렇더라도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지수는 그저 ‘오른다’는 것뿐이다.

정부는 이번 도시가스 및 열요금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원료비 연동제’에 따라 유가가 배럴당 46.1달러에서 48.6달러로 5.5% 인상됨에 따라 LNG 도입가격의 상승요인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국제유가의 경우 LNG 국제계약 관행 상 평균 4개월 전 국제유가가 국내요금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들은 4개월 전 인상된 국제유가가 현 시점의 도시가스 가격에 반영되면서, 인하된 국제유가가 4개월 후 도시가스 및 열 요금 등에 제대로 반영됐는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저 가격 인상요인이 발생했을 때에는 즉각 소비자가격에 반영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거나 마지못해 적정기한을 한참 넘어 찔끔 반영하는 것뿐이라는 의혹 가득한 시선만이 팽배하다.

지난해 여름 전기요금 폭탄의 두려움에 떨었던 소비자들은 누진제 개편이라는 우여곡절 끝에 조금이나마 그 공포에서 헤어 나온 바 있다.

동절기가 지나기는 했지만 아직도 몇 차례의 매서운 꽃샘추위가 기다리고 있는 3월 난방비 인상소식은 반갑지 않은 뉴스다. 소비자들의 마음은 올해 3월도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