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2016년 가스사고가 116건으로 최종 집계됐다. 전년과 비교하면 사고가 감소한 건수는 2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사고통계는 전체사고의 70~80%를 차지하는 LPG사고가 크게 감소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지난해 LPG사고는 70건으로, 2015년 84건과 비교해 무려 14건이나 감소했다. 도시가스는 19건에서 26건으로 오히려 7건이 늘었고, 고압가스 역시 15건에서 20건으로 5건이 증가했다. 자연스럽게 LPG사고 비율은 60.3%까지 하락했다.

국내에서 가정용 연료로 사용되는 LPG는 도입 역사가 30여년(천연가스 공급기준)에 불과한 도시가스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고압가스시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밖에 없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 에너지 특별회계나 정부 정책 역시 그동안 쇠퇴하고 있는 LPG산업 보다 새로 떠오른 도시가스를 확대하는데 집중돼 왔던 것도 사실이다. 이같은 이유로 LPG산업은 갈수록 노후되고 변두리와 시골로 밀려나게 됐고, 사고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최근 상황이 달라졌다. 2011년 정부는 ‘LPG-LNG간 적정 역할분담 방안’ 연구를 통해 LPG를 독립된 에너지원으로 규정해 지원근거를 마련했다.

또 2011년 개선 여력이 없는 서민층 노후 가스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개선사업도 시작됐다. 용기를 중심으로 공급되던 기존 LPG 유통방식은 소형저장탱크의 보급확대와 함께 새로운 유통방식이 자리잡는 등 최근 LPG분야는 새로운 투자 확대와 함께 다시 활력을 찾기 시작했다.

특히, 일명 ‘미니 도시가스’로 불리는 ‘마을단위 배관망사업’의 성공은 LPG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서민층 시설개선사업 역시 지난 5년간 40만 3000여세대를 안전한 금속배관으로 교체했고, LPG사고를 34%나 감소시켰다.

그동안 정부는 LPG사고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하지만 체적거래제를 비롯해, 배송센터 시범사업, 안전공급 계약제, 용기 사용연한제 등 수많은 정책에도 성공한 것은 하나도 없었다. 나름의 이유를 찾을 수 있겠지만 앞선 정책들은 모두 산업에 대한 투자보다 규제의 성격이 강했고, 결과는 모두 실패였다.

결국 ‘뿌린만큼 거둔다’는 만고불변(萬古不變)의 진리가 그간의 행보와 LPG사고 통계를 통해 다시금 증명된 셈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