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조선업체 특수 기대
민간 예산부담·환경문제 해결해야

2일 해상풍력 로드맵이 발표되면서 풍력업계 및 지자체들이 들썩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로드맵 발표로 가장 큰 수혜를 입는 곳은 전남도와 대형 조선업체들이라고 입을 모은다.

전남도는 서남해안 해상 풍력 프로젝트가 로드맵대로 추진될 경우 2만5000명의 고용창출 효과 및 연간 641억원의 세수 증대를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중공업 업계도 특수가 예상된다. 현대, 삼성, 두산중공업 등이 5MW급 대형 해상풍력발전기를 개발 중에 있으며 개발이 완료되면 대형 해상풍력시장에서 Track Record(상용화실적)을 쌓아 해외시장도 노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반도체기술력이 뛰어난 우리나라가 태양전지·모듈분야에서 단기간 급성장했듯이 국내 대형 조선업체들은 해상풍력발전설비와 유사점이 많은 선박·해상구조물 건조 경험이 풍부한 것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절감이 가능해 조기에 경쟁력 확보, 사업 다각화는 물론 해외시장 진출 전망도 밝을 것으로 점쳐진다. 해상풍력 설치선박 제조 등 신규사업 규모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반면 일부에서는 해상풍력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업인 만큼 좀 늦어지더라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강창일 지식경제위원이 해상풍력실증단지 조성은 1년 이상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도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다”라며 “로드맵 발표로 이제야 첫 걸음마를 땐 수준이며 이제부터라도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여기에 해상풍력단지 조성에 있어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이 투자비용이다. 총 투입되는 자본이 9조2590억원이라는 천문학적 금액이지만 이중 정부가 지원하는 규모는 R&D에 소요될 290억원에 불과하다. 9조2000억원대에 달하는 투자비용을 민간기업 등이 고스란히 부담해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 해상풍력 설치에 투입되는 비용은 육상풍력 대비 약 2배 높다. 육상에서 제작한 대형 부품들을 별도로 운반해 해상에서 조립·설치해야 하며 계통연계를 위한 케이블 연결 및 해상구조물 설치 등 모든 공정에 엄청난 금액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또다른 문제는 환경훼손과 민원이다. 대규모 해상건설사업으로 환경훼손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가 관건이지만 시민·환경단체, 지역주민들의 민원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육상풍력의 경우 민원 때문에 실증단지 구축이 지연될 정도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전문가들은 “해상풍력발전의 성공여부는 이런 복합적인 사안들을 얼마나 신속히 해결해 나가느냐에 달려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