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철 (주)미래엔인천에너지 팀장/경제학 박사

▲ 오상철 (주)미래엔인천에너지 팀장/경제학 박사
[에너지신문]  지구온난화 등으로 갈수록 여름 기온은 높아지고 있고, 특히 도시지역은 열섬현상으로 열대야로 인해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여름이 다가오면 각종 연예인을 이용한 에어컨 CF는 이제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이처럼 냉방은 이제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에너지공급방식이 된 것이다.

하지만 해외로부터 연료를 수입해 생산하는 전기는 에너지 요금에서 가장 낮은 요금으로 정책을 유지하고 있고 사용의 편리성과 개별 냉방기기의 효율도 날로 향상돼 냉방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소각열과 열병합발전(집단에너지 사업)에서 나오는 여열 등을 활용한 지역냉방은 기기효율 개발의 부진으로 인해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급되지 못해 아까운 에너지가 버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1조와 에너지법 제10조 제1항에 따라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세우고 중점과제 중 분산형 발전시스템 구축을 선정했다.

추진방안 중 하나인 집단에너지 확대에서는 하절기 경제성 강화를 위해 공동주택에 적합한 제습냉동기 상용화와 지역냉방 의무공급대상 건물을 확대해 지역냉방을 확대보급 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산업부의 제4차 집단에너지 공급기본 계획을 보면 지역냉방은 2018년까지 ‘2013년 대비 113% 증가한 총 115만 1000USRT를 공급목표로 하고 있으며, 공동주택은 약 2000여세대에 제습식 냉방을 시범공급 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현재 기기에 대한 전기효율이 좋아지고 있다고 하지만 매년 전력수요는 늘어나고 있고 이처럼 치솟는 전력수요 피크를 소각열과 발전소의 여열로 대체해 냉방을 공급한다면 전력피크 감소는 물론 버려지는 여열을 이용하므로 국가적인 에너지절감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피크전력 때문에 건설해야 하는 신규 발전소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지역냉방은 하절기 전력피크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기도 하다.

1993년 지역냉방은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안양에 공급하기 시작해 정부의 신도시 건설 붐을 타고 지역난방과 함께 급속도로 보급용량을 확대해 갔다.

하지만 공동주택이 아닌 업무 및 상업용 건축물에 한해 보급된 지역냉방은 그다지 소비자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호응을 얻지 못하는 여러 가지 이유로는 냉동기의 기술발전의 한계와 촉진을 위한 정부 정책 부재로 요약될 수 있다.

기술발전의 한계로는 중앙 집중 공급기기인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와 펌프 그리고 냉각탑과 팬코일유니트(FCU)를 들 수 있다.

특히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의 기술은 초기 지역냉방을 공급할 당시의 기술과 별반 차이가 없을 정도다. 앞으로 저비용에너지 구조로 설비를 합리화하는 등 방안을 강구해야 할 부분이다.

이처럼 국가적인 편익이 발생하는 지역냉방에 대해서 집단에너지사업자는 원가에 공급할 정도로 낮은 요금을 적용하는 반면 기기를 가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에 대해 비싼 전기요금을 적용하다보니 지역냉방요금에 비해 사용자의 공동전기료에 부담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냉방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에 대해서는 비싼 일반용보다는 산업용 등 낮은 전기요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동고하저의 수요편차에 의해 하절기 소각열과 열병합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 나오는 열은 대부분 버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버려지는 열을 활용해 전력피크를 감소시켜 한전의 전력피크 부담도 줄어드는 만큼 낮은 전기요금을 적용하는 당위성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우리나라의 지역냉방이 개별에어컨에 비해 불편한 점 등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 과도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것은 물론 중앙집중식 설비 특성상 공동주택의 모든 주민이 동의해야만 공급이 가능하다는 것도 문제점이다.

지역냉방이 공동주택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에 앞서 정부에서도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과 제4차 집단에너지 공급기본 계획을 통해 지역냉방을 확대보급하기로 한 만큼 앞으로 기술개발과 정부의 정책 지원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