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충렬 목표대학교 석좌교수.
유럽에서 청정에너지로서 큰 두각을 나타내는 신재생에너지원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풍력에너지이다.

원폭 피해를 입었던 일본과는 대조적으로 독일은 구소련의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 후 원자력을 포기하고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정책을 택했다. 이같은 독일의 정책이 활력소가 되어 유럽은 이미 풍력을 선두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메카로 자리매김 하기 시작했다. 특히 독일은 정부주도형이 아닌 민간주도형 풍력에너지 산업육성책을 펴가며 세계최고의 기술과 단지화를 통해 풍력산업을 부흥하게 만들었다.

유럽의 2050년 신재생에너지 로드맵을 보면 100% 신재생에너지원을 목표로 한다. 특히 풍력에너지가 신재생에너지의 50%를 담당하도록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달성키 위해선 해상풍력발전 단지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고 특히 풍황이 좋은 북해, 발틱해, 이베리아반도, 남부 프랑스지역과 이태리 중부지역의 역할이 중요하다.


가히 녹색산업의 혁명이라고도 할 풍력산업은 이처럼 유럽을 거쳐 미국, 아시아의 인도 및 중국 등에서 육상풍력을 거쳐 이제는 해상풍력산업으로 치닫고 있다.

그러면 우리의 풍력산업 육성정책은 어느 수준에 있을까. 우리제품을 시장에 겨우 내세울쯤에 벌써 중국, 인도의 제품이 국내에 들어오고 풍력산업의 근원이 될 수 있는 풍력단지 개발에 따른 민원조차 제대로 파악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다행히 많은 기업들이 풍력산업에 동참하고 있고 선진기술을 매입해 기술력을 추월하고 수출에 기여 하겠다고 한다. 이는 매우 고무적이다.

국내의 정책적 쪼임 보다는 해외 풍력단지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실리적이고 정부의 골칫거리를 해결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다시 수출 강국이 될 수 있다는 자아 당착에 빠지는 것보다 왜 독일이, 덴마크나 스페인이 풍력제품 수출 강국이 되고 이제는 중국 인도도 그 대열에 낄 수 있는지에 대해 정부가 알아야 한다.

국내 풍력산업이 국제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어떠한 정책적 배려를 중소기업에까지 해줄 수 있을지 궁금하다.

우리의 현실은 안타깝게도 모든 해결책을 대기업에 의존하고 있고 대형풍력발전시스템만을 주창하고 있는 현실이다.

상용화 및 기술개발을 꾸준히 해 온 유럽의 기술을 보면 현재 7,5Mw급이 상용화 준비 중이고 10Mw급이 연구개발 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 유럽공동체가 대형 20Mw급 개발과제를 준비중에 있다고 공표했다. 날개지름이 250m나 되고, 나셀허브까지의 높이가 153m정도 된다고 한다. 이는 2050년에 풍력이 50%까지 감당하기 위한 유럽의 도전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현실은 해상풍력 로드맵에 매달려야 하고, RPS정책에 목을 내밀고 있어야 한다.

계통이 취약해 전남권 해상풍력대단위 단지는 버려진 듯하거나 오죽하면 전남 아래 쪽에 원전을 유치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넉넉한 계통선을 꿈꾸고 그와 더불어 해상풍력단지개발과 풍력산업의 활성화를 계획했을까.

국내의 해상풍력단지개발은 서남권이 좋기는 하지만 덴마크의 해상풍력개발과 독일 및 영국의 해상풍력단자개발과 설치공법이 왜 다른지를 잘 알고 넘어가야 하겠다.

독일은 초기부터 5Mw급으로 기종을 선택했다. 이는 수심이 깊어 수중 하부구조물 제작및 설치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투자대비 대형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한 선택이 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해풍에 의한 연간 발전량도 비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로 영국의 해상풍력발전 사업은 날로 강세를 띠게 되었다.

이와 같이 대단위 단지개발이 되면, 그 주변에 최소한 타워공장이나 Blade제작공장, 하부구조물 제작생산 공장을 조성토록 유도하고자 하는 지역 지방정부의 요구가 있기 마련이다.

세계 풍력시장의 부품생산업은 점차 국부적 여건에 충족하게 되기 때문에 시장의 규모가 지역안배의 단지개발지역으로 분산되어지는 추세이기도 하다.

국내의 중견 중공업 업체들이 대거 풍력산업화에 참여들 하고 있으나 대형풍력발전기 기술개발엔 경험들이 전무한 상태로 다급히 어쩔수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험 및 기술력이 풍부한 컨설팅 회사들과의 기술이전을 보장 받으면서 개발하기를 기대해 본다.

다만 이러한 인프라가 조성되기 위해선 정부 나름대로의 선진대열로 참여할 수 있는 유도정책이 확립 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과 같이 고압계통선을 설치 해주면서 풍력산업을 키우지는 못해도 비슷한 정부의 자국책이 국회에서 다루어 지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언제가는 국내에서도 국산제품에 의한 해상풍력산업이 우리산업의 희망이 될 날이 오리라 굳게 믿어본다.

*손충렬 국립 목표대학교 해상풍력중심 신재생에너지 인재양성센터 석좌교수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