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문] 최근 마을단위 배관망 사업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LPG업계에 모처럼 활기가 도는 듯 하다. 갈수록 높아지는 도농간 에너지비용 차이가 이슈화되면서 정치권에서도 사업에 대한 관심이 크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정부 지원없이 자체 예산만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싶다는 문의가 잇따른다는 전언이다.

하지만 모처럼의 활기에도 불구하고 LPG산업의 시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속되는 차량 감소와 수요 감소로 산업기반은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산업 부흥을 위해 제안한 정책은 정부에서 외면받고 있으며 업계의 숙원사업이었던 액법일원화도 국회에서 표류 중이다.

수요 감소는 심각한 수준이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올 1~6월 국내 LPG 소비량은 385만톤으로 전년동기 보다 5.1% 감소했다. 도시가스 공급확대와 차량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차량 감소세가 심상찮다. 6월 LPG차량 등록대수는 237만3202대로 올들어 1만8786대나 줄었다. 점유율도 11%대로 추락했다. 차량 노후화로 인한 대폐차가 직접적 원인이지만 부진한 신차 출시와 사용제한 정책이 신규 수요 창출에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업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LPG차량의 사용제한을 다문화·다가구로 확대하는 안을 제출했으나 최종 승인을 얻지 못해 사장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홍의락 의원이 발의한 법령 일원화도 국회에서 표류 중이다. LPG업계는 석대법과 액법으로 나눠져 있는 LPG법령을 액법으로의 일원화해 효율적인 LPG정책 수립과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지난해 논의가 본격화, 개정안 발의까지 이어졌으나 지난 2월 국회에 상정된 이후 반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논의조차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슈가 되는 에너지복지 관련 사업이 아니면 여전히 소외받고 있는 셈이다. 에너지원 다원화, 에너지안보, 자원배분의 효율성 측면에서 LPG의 필요성은 이미 충분히 알고 있다.

수요 창출 및 유지를 위해서는 업계의 노력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를 위해서는 정부의 균형적인 지원이 기반돼야 한다. LPG산업이 더 멍들기 전 정부가 행동에 나서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