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LPG업계는 다사다난했다. 도시가스 공급확대, 정부의 CNG·경유 택시 도입 추진 등 끊임없는 수요기반 위협에 시달리며 벼랑 끝으로 몰렸다. 하지만 재도약의 발판은 마련했다는 평가다. 특히 프로판 시장의 성과가 크다.

소형저장탱크 보급은 업계의 염원을 안고 순항 중이다. 정부는 복지시설 대상으로 소형LPG저장탱크를 보급했고, 올해 27억원의 예산을 별도 편성해 9개 농어촌 마을에 LPG배관망 시범사업을 벌인다. 특히 배관망 사업은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의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어 전망이 밝다.

에너지복지와 연계돼 LPG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환기시켰다. 업계가 꾸준히 요구했지만 지지부진했던 액법 일원화도 지난 11월28일 홍의락 의원이 관련 개정안을 발의, 본격 추진 중이다.

용기사용연한제도 전면 개선된다. 26년 이상된 노후용기를 일괄 폐기토록한 제도에 대해 업계는 자원낭비·수급불안 및 유통단가 상승 유발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고,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 제도 조정에 나섰다.

이같은 성과는 업계를 넘나든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소형저장탱크·배관망 사업은 정부에 앞서 양수입사가 기금을 제공하고, 충전업계가 실무를 맡아 시범사업을 진행한 것이 주효했다. 용기연한제도 개선 역시 충전·판매업계가 협력해 일관성 있는 주장을 펼친 것이 효과적이었다는 평가다.

하지만 최근 다시 분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용기관리 일원화 주체를 두고 충전업계와 판매업계가 서로가 적합하다고 주장하며 갈등이 예열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처음이 아니다. 2012년 하반기 수입사와 충전업계의 갈등이 표면에 불거진 바 있다. 또 충전업계에서는 직영과 자영사업자 간 갈등, 판매업계에서는 용기사업자와 벌크판매사업자와의 갈등 등 업역을 둘러싼 갈등은 현재 진행형이다.

LPG업계는 여전히 극심한 수요감소와 거세지는 택시시장 개방 압력 등 험난한 앞길을 가야 한다. 공동전선을 구축하지 않으면 공멸할 위험이 높은 시기다. 이때 내 밥그릇을 지키려다 정작 쌀을 잃는 우를 범해선 안된다. 당장은 덜 먹더라도, 나중을 위해 논을 지켜야 한다. 배려와 소통에 기반을 둔 공동체 의식이 발휘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