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산업의 내리막길이 더 가파라졌다.

한국석유공사는 올해 1분기 용도별 LPG소비 현황을 195만4000톤으로 집계했다. 전년동기(231만8000톤) 보다 36만4000톤 줄어든 수치다. 감소율을 계산하면 15.7%에 달한다.

특히 프로판은 1분기 소비량은 전년동기보다 36만톤 줄어 31.6%의 감소율을 보였다. 지난해 LPG소비량은 평균 3.0%, 프로판은 3.8% 하락했음을 감안하면 기록적인 수치다.

부탄 소비와 직결되는 차량시장도 악화일로다. 국토교통부의 차량 유종별등록현황에 따르면 LPG차량은 3월 현재 241만2158대로 올 들어서 벌써 3327대나 줄었다.

이 상황은 지속될 전망이다. 올해 정부는 △삼척, 강릉, 속초, 양양, 태백, 부여(중부권) △영덕, 울진, 하동(영남권) 등 총 9개 지역에 천연가스를 신규 공급하는 등, 오는 2017년까지 전국 지자체 230개 중 총 214개에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가정상업용 비중이 큰 프로판 시장은 더 경직될 전망이다.

택시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22일 국토교통부는 1억원의 CNG택시보급활성화 연구 용역 재공고했다. 결과에 따라서 정부는 CNG개조에 최대 430여만원을 지원할 방침이라 향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산업 존립 기반이 통째로 흔들리고 있는 셈.

하지만 산업 보호에 나서야 할 정부의 무관심은 심각하다. 독립에너지원으로서 전체의 4%를 유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도 3년이 지나도록 후속조치는 커녕, 압박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LPG의 정체성 재확립이 요구된다. LPG는 현재 석유·가스 양쪽의 법 적용을 받아 각종 정책 수립에 혼선이 크고, 추진이 어렵다. 정부의 찬밥취급도 이에 기인한다. 지난해 11월 LPG의 날에서 참석한 정부관계자는 업계의 가스체 독립에너지원화 요청에 긍정적으로 답한 만큼 하루빨리 추진에 돌입해야 한다.

에너지안보 및 경제성 환경성 측면에서 LPG의 가치는 여전하다. 업계의 자구노력도 중요하지만, 에너지산업의 특성상 정부의 정책지원은 절실하다. 가파른 수요감소로 초미지급(焦眉之急)한 LPG산업에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