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풍수지리(風水地理)를 중요시했다. 민간의 장묘풍습에서부터 조정의 정책까지 거의 모든 대소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는 거의 절대적 신앙에 가까웠다.

집을 지을 때도 배산임수(背山臨水) 여부를 따져 꼼꼼히 검토했으며 일제 식민지 시절에는 일본인들이 산에 말뚝을 박아 우리 민족의 정기를 끊으려 했다는 것도 우리가 잘 아는 얘기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외치며 풍력산업을 ‘제2의 조선산업’으로 육성할 것을 천명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27개에 달하는 육상풍력단지 조성 프로젝트들이 최종 승인이 나지 않아 무기한 보류되고 있는 상황이다.

가장 큰 이유는 물론 환경문제다. 풍력발전설비는 풍황이 좋은 산지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공사가 진행되면서 어쩔 수 없이 산지가 깎이고 나무가 베이게 된다. 환경부와 시민단체는 이러한 부분을 강조하면서 풍력단지 조성에 제동을 걸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일부 시민단체 및 지역 주민들은 단순히 풍수지리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공사를 반대하고 있다고 한다. 타워를 지면에 고정하는 작업이 마치 거대한 쇠말뚝을 박아 맥을 끊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국내 풍력산업은 단조부품의 해외 수주가 활발할 뿐, 완성품 및 시스템 부분에서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해외수주 결과물이 나오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국내에서 설치가 미뤄져 트랙레코드(가동 실적)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문제를 비롯해 지역 주민들의 보상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엉켜 있어 우리 풍력산업은 몇 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여기에 풍수지리까지 동원된 ‘풍력 결사반대’의 목소리를 듣고 있으면 풍력산업의 앞날이 보이지 않는다.

어떻게든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할 정부 부처들은 각자의 입장만을 되풀이하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으며 강경한 NGO들은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풍력을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는 수출산업으로 키우는 한편 미래의 무한정, 친환경 에너지로 마음껏 사용하려면 넓은 시각을 갖고 반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것만으로 친환경에너지를 반대한다면 우리나라는 영원히 원전에 의존해 살아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