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구원 "기술자립 발판 마련 기대"

[에너지신문]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자력 전기추진, 대형 위성 및 심우주 탐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고전력 전기추력기를 개발하고 주요 성능을 검증하는데 성공했다.

원자력연구원 핵물리응용연구부 채길병 박사 연구팀은 4년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국내 최초로 10kW급 고전력 전기추력기 개발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전기추력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연료를 가열, 가속한 뒤 노즐로 분사해 추진력을 얻는 장치다. 기존의 화학식 추력기에 비해 추진력은 낮지만 연비가 월등히 높아 연료 무게를 줄이고 탑재체 무게를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고전력 전기추력기.
▲ 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고전력 전기추력기.

이번에 개발한 고전력 전기추력기는 화학식 추력기에 비해 연비가 4배 이상 높아 향후 유·무인 우주선, 대형 정지궤도 위성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채길병 박사 연구팀은 영구자석 안에 양극, 음극 그리고 양극과 음극을 분리시키는 절연체로 고전력 전기추력기를 구성했다.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르는 전기는 알곤 가스를 플라즈마로 만든다. 직경 30cm 원통형 영구자석이 발생시킨 강력한 자기장은 플라즈마화 된 알곤 가스를 가속, 가열하게 되고 이것을 노즐로 분사하면 추진력이 발생한다.

이 때 전기추력기 양극은 내열성을 갖춰야 하고, 음극은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 절연체를 어떤 재질로 만드느냐에 따라 플라즈마의 안정성이 결정되는데, 플라즈마의 성능을 최대화 하면서 안정화 할 수 있는 절연체의 재질을 선정하는 문제 또한 전기추력기 개발의 난제로 지적돼 왔다.

연구팀은 열부하를 가장 많이 받는 부품인 양극을 구리로 제작해 내열성을 확보했고, 음극은 토륨-텅스텐 재질로 설계하여 전류를 2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공급하는데 성공했다. 절연체는 알루미나(산화 알루미늄)로 만들어 플라즈마의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우주기술 선진국의 10kW급 전기추력기 추진력은 300~600mN(밀리뉴턴)으로 알려져 있다. 원자력연구원은 2.6㎥ 진공챔버로 극저온, 진공의 우주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갖춘 성능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200mN의 추진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 실험실 규모에서 기술의 주요 성능 및 특성이 입증된 단계로, 향후 10kW 이상의 고전력 전기추력기를 개발해 60㎥ 이상 대형 진공챔버를 통해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국가간 우주 기술개발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성과는 고전력 전기추력기 분야 기술자립의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우주기술 선진국의 경우 현재 10~100kW 고전력 전기추력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에 의해 관련 기술 또는 물자의 이전이 통제받고 있다. 이번 연구성과는 자체 기술개발을 통한 관련 기술 국산화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한규 원자력연구원장은 “이번 기술개발은 자체적으로 고전력 전기추력기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우주 기술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이고 우주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