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호근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
▲ 민호근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

[에너지신문] 전기차 화재 건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가 보편화될수록 화재 건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차량의 화재는 전기차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전기차는 10만 대당 2.7대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 일반 차량은 10만 대당 10대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그렇다고 전기차가 더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다. 열폭주 현상에 의해 차량의 온도가 순식간에 섭씨 800도까지 치솟고,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화재를 쉽게 진압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러한 전기차의 특성 때문에 더 큰 우려를 하고 있다. 최근 대전의 한 아울렛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화재 사고에서도 화재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전기차 또는 전기차 충전시설이 발화의 원인이라고 추측하는 기사나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화재의 원인이 전기차와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으나, 전기차 화재에 대한 사람들의 두려움과 우려가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그러나 이제는 전기차 화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보다, 화재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법과 제도에 대한 논의에 보다 집중할 때라고 생각한다.

최근 전기차 충전기설 의무 설치와 관련된 법이 재정됐으나, 전기차 화재와 관련된 안전시설에 대한 법은 재정되지 않았다. 또한 지하주차장과 같이 차량의 화재가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공간에 대해서도 전기차 화재에 대비한 별도 규정은 전무하다.

아직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법과 제도가 이를 대신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논의가 하루빨리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범정부 차원의 대응보다는 지역 또는 민간 차원의 대응이 진행되고 있는 정도다. 부산소방재난본부에서는 ‘전기차 전용구역 소방안전 가이드’를 마련하여 전기차 전용구역에 대한 방화 구획, 연기배출 설비, 스프링쿨러헤드 사수 밀도 강화 등 세부 설치 기준을 적용하고 있고, 민간 건설사는 지하주차장에 환기팬과 질식소화포를 결합한 방식의 전기차 화재 진압 설비를 고안,도입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과 민간차원에서는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사회 전체적을 확대 전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 차원의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수립돼야 한다.

한편, 궁극적으로 전기차 화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차량이 보편화되기 시작한 1900년대 초만 해도 차량의 유리는 운전자를 위협하는 무기로 돌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유리 제조 기술 발달을 통해 자동차 유리의 치명적인 단점이 해결됐다. 전기차 화재 역시, 배터리가 운전자를 위협하는 무기로 돌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기술 발전이 필요하다. 현재도 열폭주나 열전이 현상을 지연시키기 위한 기술과 BMS를 통한 안전 화보 방안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환경부는 2025년 국내 전기차 보급량을 누적기준 약 113만대로 목표하고 있다. 실제로 전기차의 보급 속도는 다른 국가와 비교해봐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전기차의 증가가 국민의 안타까운 인명피해로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정부와 산업계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모든 산업 분야에서 화석연료 시대가 저물어가고 있으며, 이는 자동차 산업 역시 마찬가지다. 전기차와 함께 또 다른 친환경 차량인 수소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판매량 역시 급증하고 있다. 친환경차가 주목받는 만큼 안전에 대한 국민 우려를 확실히 불식시킬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으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