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고준위방폐물 R&D 로드맵 후속 토론회 열려
부지 28개·처분 46개 기술 확보 위한 의견 수렴의 장

[에너지신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의 핵심 요건인 부지평가 및 안전처분 분야 기술확보를 위한 의견 수렴의 장이 마련됐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과 공동으로 28일 토론회를 열고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토론회에서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최우선 목표로 처분시설 부지평가를 위한 28개 기술 및 방폐물 안전처분 관련 46개 기술에 대한 R&D 추진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우선 안전성이 입증된 부지평가 기술개발을 목표로 △부지 선정 기준 및 요건 △부지 조사‧평가 절차 △부지 특성 조사 및 모델링 △장기변화 예측기술 등을 논의했다. 또 국내 여건에 최적화된 방폐물 처분을 위한 △처분시스템 개발 △종합안전성 입증(Safety Case)기술 △처분시설의 건설‧운영‧폐쇄기술 등에 대한 추진전략 및 투자계획 등을 검토했다.

▲ 28일 대전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에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R&D 후속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 28일 대전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에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R&D 후속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처분시설 부지평가 분야는 9개 기술이 이미 확보됐으며 나머지 19개 기술은 2029년까지 2314억원을 투자, 자체 수행하고 처분시설 부지 선정에 적용할 계획이다.

부지평가의 객관성과 정확성 향상을 위해 AI 등 첨단 IT기술도 활용하게 된다. 국내 부지조사 결과를 이용한 머신러닝 기술을 2027년까지 개발하고, 부지 특성 예측도 현재 2D 기반에서 3D 예측기법으로 고도화한다.

처분시설 안전처분 분야의 경우 6개 기술은 기 확보했으며 미확보된 40개 기술은 2055년까지 5226억원을 투입, 국내 자체수행(37개)과 해외도입(3개)을 통해 확보하고 고준위방폐물 처분에 활용할 방침이다.

한국형 처분시설은 국내 암반의 특성을 고려, 2040년대까지 단계적으로 개발되며 처분시설 내 방사성 물질의 이동, 설계요건 및 상세구조 등 핵심시설을 2029년까지 개발한다. 이후에는 지하연구시설에서 설계 내용과 지하 암반을 이용한 실증을 거쳐 완성할 예정이다.

처분시설에 필요한 용기, 완충·밀봉재 등 핵심소재는 2050년대까지 국산화를 추진한다. 처분시설에 대한 안전성 실증 및 최적화를 위해 처분 부지와는 별도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은 공단의 사업예산으로 총 4936억원을 확보, 추진할 계획이다.

송충섭 원자력환경공단 부이사장은 “고준위방폐물관리사업과 관련, 국민 신뢰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을 적기에 차질없이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지난 20일 R&D 로드맵을 최초 공개한 데 이어, 세부 기술 분야별로 구체적이고 집중적인 논의를 위한 후속 일정으로 마련됐다.

특히 연구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지질자원연구원, 원자력연구원을 비롯해 관련 연구기관이 집중된 대전(국제원자력연구센터)에서 개최했으며 유튜브를 통한 영상중계도 진행됐다. 산업부는 내달 4일 부산에서 R&D 로드맵 운반‧저장 분야 토론회를 개최, 추가적인 의견수렴을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